기호의 의미 과정에 대한 연구는 한 시대, 그 사회의 관습, 개인의 내적 변화를 추적하고 원인을 밝히고, 관련된 다른 분야 연구의 기초 자료를 마련해 줄 수 있다. 특히 사회기호학은 시각적 기호의 사용과 그 사회적 실천에 관심을 가지며, 계속 진화하고 있는 사회 · 문화적 맥락에서 생성된 규칙을 찾아 기호의 의미화 과정에 적용시킨다. 따라서 우리가 시각 미디어를 분석하고 사회 · 문화적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기호학의 이론적 배경과 주요 기능을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시각 미디어인 영화 콘텐츠에 사회 기호학의 주요 개념인 메타기능을 적용시켜 분석해 봄으로써, 사회기호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서울시교육청 산하 서울시교육연구정보원 영상팀장이다. 서울교육과 관련된 교육동영상을 기획 · 제작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95년 케이블TV 개국 때 입사해 교육, 다큐멘터리, 의료 등 다양한 채널에서 교양 및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기획 · 연출했고, 영화 전문 미디어에서 영화 관련 동영상 콘텐츠의 기획과 제작을 담당했다. 2005년부터 지금까지 서울시교육연구정보원에서 교육과 관련된 교수 · 학습 동영상, 교육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을 위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 운영하고 있다. 논문으로 "매체특성에 따른 영상화 과정 연구?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1994), "다큐멘터리제작의 다양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은 무엇인가? ? VJ 도입의 문제"(1999)가 있다.
01 사회기호학이란
02 사회기호학의 주요 개념
03 시각 문법 1?재현적 메타기능
04 시각 문법 2?상호작용적 메타기능
05 시각 문법 3?구성적 메타기능
06 다중양식
07 비주얼스토리텔링
08 영화 국제시장 분석
09 영화 명량 분석
10 영화 암살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