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화소설로서의 <서동지전>
변동기 사회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이 작품은 흥미로운 요소를 여럿 지니고 있어서 적지 않은 관심을 끌었던 것으로 보인다. 엄청난 부를 소유한 인물과 굶어 죽을 지경에 처한 인물의 극단적 대립, 이들의 날카로운 갈등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소지와 송사, 그리고 관권의 개입에 이르기까지 매우 자극적인 설정과 상황이 흥미롭게 펼쳐지기 때문이다. 관권에 의하지 않고는 해결할 수 없었던 부자와 빈자의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 작품은 부익부 빈익빈의 양극 분해로 치달았던 변동기 사회의 암울한 이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본의 세 가지 계열
양식 다툼과 송사는 이 작품의 중심축이라 할 수 있는데, 인물 간의 양식 다툼은 갈등의 계기로, 관권에 의한 송사는 갈등의 해결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갈등의 원인과 해결 양상이 이본마다 서로 다르게 나타나 있으므로 이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할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본에 따라 송사의 실상이 다양한데, 다람쥐의 소지가 무고로 밝혀지는가 하면 반대로 다람쥐의 억울함을 밝혀내지 못해 관권의 무능이 폭로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편차가 생기게 된 원인은 작품이 문제 삼았던 대상이 어느 한쪽으로 단정할 수 없는 민감한 것인데다가 우화소설이라는 작품의 특성이 겹쳐지면서 독자의 입장에 따라 해석이 엇갈렸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서동지전>의 이본은 내용의 유사성과 전승 · 유통의 유사성을 고려해 한글 필사본(약 7종), 한문본(약 3종), 활자본(약 2종) 등 세 가지 계열로 나눌 수 있다.
어떻게 감상할 것인가?
<서동지전>은 이본이 그리 많지 않은 데 비해 작품의 내용에 편차가 크고 주제도 엇갈리는 편이어서 좀 더 정확하고 바람직한 감상을 위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고소설은 필사(筆寫)라는 방식을 통해 전승 · 유통되었는데, 필사는 일회적 독서나 단순 향유가 아닌 적극적이고도 능동적인 향유 방식이다. 왜냐하면 필사 과정에 향유자의 입장이나 의식이 개입되기 마련이어서 글자나 표현 차원의 단순한 개작은 물론이고 인물 묘사나 내용의 변개, 특히 결말 개작을 통한 주제의 변개 등 심각하고 전면적인 개작이 일어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서동지전>이 이본 계열 사이에서 상이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이러한 유통 방식과 연관이 깊다.
작자 미상
고대로부터 전해져오는 익명의 저자들,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사자성어이다.
서대쥐가 자손들과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
당 천자의 교지를 받아 동지(同知)가 되다
서대쥐를 축하하기 위해 당상 잔치를 열다
다람쥐가 서대쥐를 찾아가 양식을 얻다
빌린 양식을 다 먹은 다람쥐가 다시 한 번 서대쥐를 찾아가다
거절당한 다람쥐가 홧김에 송사를 준비하다
백호산군을 찾아간 다람쥐가 소지를 올리다
오소리와 너구리가 서대쥐를 잡으러 가다
서대쥐가 백호산군에게 무죄를 주장하다
백호산군이 판결을 내리다
해설
옮긴이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