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광고의 효과는 제한적이다. 의료 서비스가 인간의 생명을 다룬다는 점에서 일반 재화나 서비스와 구별되며, 즉각적인 치료를 요하거나 시술의 위험성이 따르는 고관여 상황에서 단순히 병원 광고 메시지에 노출된다고 해서 병원을 선택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원 마케팅은 진정성과 차별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다양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고객 접점을 극대화하고 분명한 포지셔닝을 위해 동일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노출해야 한다. 병원 마케팅의 차별점, 커뮤니케이션 툴과 메시지, 포지셔닝 전략, 온라인 전략, 병원 문화, 사회공헌활동 등 병원 마케팅의 핵심을 소개하고 미래를 전망해 본다.
계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독일 보쿰대학교에서 언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전문위원, 한국광고홍보학회와 한국PR학회 연구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구도시브랜드위원회 위원, 한국수력원자력 자문위원, 한국PR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새로운 자본주의하에서 광고와 PR의 사회적 책임과 공적 가치의 실현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 사회의 잘못된 마케팅 관행을 고발하고 학문적 성취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 [로빙](2015),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공저, 2014), [PR학 원론](공저, 2014),[연필로 쓰는 광고기획론](공저, 2014), [홍보론](공저, 2015) 등이 있고, 편역서로 [국제PR 기획과 사례](2014)가 있다. 논문으로는 ""PPL 효과 측정을 위한 방법론적 탐색: MCQ 척도에 의한 제품의 재인, 회상, 선택의도의 측정""(2014), ""미디어체계의 폐쇄성과 현실 구성의 항상성""(2012) 외 다수가 있다.
01 의료 서비스
02 병원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03 의료 광고 심의
04 병원 커뮤니케이션 툴
05 병원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06 병원 포지셔닝 전략
07 병원 온라인 전략
08 병원 문화
09 HSR
10 병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