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르 부르디외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상관관계를 따진다. 여기서 보이는 것이 물질 생산(경제), 지배와 저항(정치)의 영역에 해당한다면, 보이지 않는 것은 문화 혹은 상징의 영역을 말한다. 부르디외는 사회적 삶의 보이는 영역인 경제와 정치가 정작 보이지 않는 영역인 문화와 상징을 통해 관철되고 있음을 밝힌다. 여기서 아비튀스와 장, 상징투쟁, 장과 사회공간 사이의 상동성, 문화, 상징권력 등의 개념은 부르디외가 말하는 문화와 경제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 개념들을 통해 부르디외는 현대 사회를 구동시키는 복잡한 비밀을 누설한다. 이 책은 부르디외가 드러내는 사회의 상징적 마법을 이해하고 풀어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서강대 사회학과에서 학부, 석사, 박사과정을 졸업하고, 현재 같은 대학 사회과학연구소에서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지원사업 연구교수로 일하고 있다. 「오윤론, 삶에의 의지로서의 미술」로 2002년 한국예총 미술평론 신인상, 「전후 한국화단의 양식투쟁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로 2009년 한국사회학회 논문상을 수상했다. 현재 예술현상을 사회학적으로 개념화하거나 사회학적 개념을 미학화하는 작업에 관심을 두고 있다. 예술은 그저 고상한 교양이 아니라, 끊임없이 부정하고 또 부정되어야 하는 분류투쟁의 대상이며, 이 분류투쟁은 단순히 천재들의 비범한 영감의 소산이 아니라, 인정과 명예를 독점하고, 이를 사회적 이해로 변환하기 위한 사회적 투쟁이라는 관점을 갖고 있다. 부르디외를 중심으로 월하임, 하우저, 단토, 라투르 등이 서로 교차하고 이탈하는 지점을 가늠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문화사회학, 예술사회학, 사회학이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01 아비튀스, 체화된 구조
02 장, 위치들의 공간
03 상징 투쟁, 장의 자율성을 성취하는 힘
04 상동성, 장과 장들 사이의 관계
05 자본, 문화 대 경제
06 문화와 구별짓기
07 예술, 아름다움을 독점하려는 욕망
08 상징권력, 자발적 복종을 이끌어 내는 힘
09 신자유주의, 자본주의와 저널리즘의 공모
10 사회학, 맞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