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경제과학의 궁극적 기초≫와 자매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행동학 방법론에 대한 미제스의 전기 사상을 잘 보여 준다. 실증주의를 논쟁의 대상으로 삼아, 인간행동과학의 일반 법칙이 가능하고 그것을 다루는 학문이 사회학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인간의 행동을 다루는 학문, 즉 인간행동학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해 보였다.
저 : 루트비히 폰 미제스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1881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연합왕국의 렘베르크 시에서 태어났다. 지금은 우크라이나 땅인 이곳에서 아버지가 철도부설 기술자로 일했기 때문이다. 어머니는 오스트리아 자유당 국회의원을 지냈던 요아힘 란다우의 조카였다. 미제스는 어린 시절 부모님을 따라 빈으로 이주했다.
1900년 빈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해 1906년에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를 받은 후 몇 달간 재무부에 근무하다가 법률사무소로 자리를 옮겼다. 그리고 1909년 빈 상공회의소로 들어가 1938년 히틀러 나치의 침략 이후 쫓겨날 때까지 연구위원으로 일했다.
1934년 이후에는 제네바 국제관계연구소 대학원의 초청을 받아 스위스로 갔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미제스는 1차 대전 패전국이었던 오스트리아 문제가 더 이상 국내적인 것이 아니었기에 국제연맹이 있던 제네바로 갔다고 썼다. 미제스는 경제학의 과학성을 위해 헌신적 연구를 하면서도, 이처럼 현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도 적극적으로 뛰었다.
59세의 나이에, 10년 이상 사귄 배우 출신의 미망인 마르기트와 결혼했다. 그리고 히틀러가 프랑스 침공에 성공하고, 빈에 있는 미제스의 집을 수색해 책이나 문헌을 압수해 가자 어쩔 수 없이 마르기트와 함께 자유를 찾아 미국으로 건너가는 길을 택했다. 이후 세미나를 주재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펼쳐 오스트리아학파를 번성시켰다. 1973년 10월 10일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책들 중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의 인식론을 다듬은 것으로는 ≪경제학의 인식론적 문제들(Epistemological Problems of Economics)≫(1933), ≪과학이론과 역사학?사회 · 경제적 진화에 대한 해석(Theory and History?An Interpretation of Social and Economic Evolution)≫(1957), ≪경제과학의 궁극적 기초(The Ultimate Foundation of Economic Science)≫(1962)가 있다.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의 내용을 발전시킨 책으로 ≪화폐와 신용의 이론(The Theory of Money and Credit)≫(1912), ≪경제학(Nationalokonomie)≫(1940), 이 책을 확대 발전시켜 미국에서 발간한 경제학 개론서인 ≪인간행동(Human Action)≫(1949)이 있다.
또한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만이 아니라 적극적인 실천적 지침으로서 자유주의에 대해서도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자유주의(Liberalismus)≫(1927)가 그것이다.
고국 오스트리아에서도 인플레이션 정책에 견결히 반대를 했고, 성공도 좌절도 맛보았지만, 미국에 와서도 간섭주의의 원인인 국가 관료주의에 대한 비판의 예봉을 삼가지 않았다. 그래서 미국에 도착하자마자 곧바로 1929년에 출간했던 ≪간섭주의 비판(Kritik des Interventionismus)≫의 영어판 ≪간섭주의: 경제적 분석(Interventionism: An Economic Analysis)≫(1941)을 냈고, 히틀러 정권의 대두에 대해서 분석한 ≪전능한 정부?전체주의 국가의 대두와 전면전(Omnipotent Government?the rise of the total state and total war)≫(1944), 기업가의 회사 경영과 관료 지배가 얼마나 다른가를 분석한 ≪관료제(Bureaucracy)≫(1944)를 연달아 출간했다.
역 : 박종운
박종운은 청주고, 서울대 사회학과, 서울대 행정대학원을 졸업했다.
국회의원 연구 모임 국가발전전략연구회의 사무처장, 경기도 경제단체 연합회 사무총장 등을 역임했고, 민주주의와 시장경제가 함께 가야 한다는 맥락에서 뉴라이트 운동과 연대했다.
저서로는 신문 기고 및 방송 대담 등을 모아 발간한 경제 칼럼집 ≪시장경제가 민주주의다≫(엣즈, 2008)가 있고, 역서로는 민경국 교수와 함께 번역한 미제스의 ≪인간행동(Human Action)≫(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권혁철, 김이석, 송원근, 최승노 박사와 함께 번역한 매슨 피리의 ≪미시 정치?성공하는 정책만들기(Micro Politics?Creation of Successful Policy)≫(북앤피플, 2012), 그리고 ≪사회주의≫(지식을만드는지식, 2015), ≪과학이론과 역사학≫(지식을만드는지식, 2015)이 있다. 2016년에는 김승욱, 신중섭, 김행범, 안재욱, 최승노, 김광동과 함께 ≪자유주의 자본론≫(2016, 백년동안), 미제스의 책을 쉽게 풀어 해설한 ≪딱맞게 풀어쓴 자본주의 정신과 반자본주의 심리≫(2016, 자유경제원)도 출간했다.
제3판 서문 : 가치 이론에서 인간행동학으로
1978년판 서문
영어판 서문
독일어판 서문
1장. 인간행동과학의 과제와 범위
I. 사회과학의 본성 및 발전
1. 역사적 · 규범적 과학에서의 기원
2. 경제학
3. 사회학의 프로그램 그리고 역사 법칙에 대한 요구
4. 역사주의의 입장
5. 경험주의의 관점
6. 보편타당한 인간행동과학의 논리적 성격
7. 사회학과 경제학 : 경제사상사에 대한 약간의 논평
II. 선험적 정리 체계의 범위와 의미
1. 행동의 기본적 개념과 범주적 조건
2. 선험적 이론과 경험적 확증
3. 이론과 경험적 사실들
4. 수단과 목적의 구분 : 비합리적인 것
III. 과학과 가치
1. 가치 판단과 관련한 중립성의 의미
2. 과학과 과학기술 : 경제학과 자유주의
3. 방법론적 개인주의에 대한 보편주의자의 비판
4. 전체를 경험하는 것 그리고 과학적 인식
5. 보편주의 학설의 실수들
6. 객관적 의미
IV. 효용주의와 합리주의 그리고 행동 이론
1. 피어칸트의 본능사회학
2. 뮈르달의 태도 이론
3. 민족학과 선사학의 합리주의 비판
4. 본능사회학과 행태주의
2장. 사회학과 역사학
서론
1. 방법론적 · 논리적 문제
2. 역사학의 논리적 성격
3. 이상적 유형과 사회학적 법칙
4. 경제학의 논리적 성격에 대한 오해의 근거
5. 사회학 없는 역사학
6. 보편적 역사와 사회학
7. 사회학적 법칙들과 역사학적 법칙들
8. 경제학에서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
9. 사회학 지식의 보편타당성
결론
3장. 개념과 이해
1. 외부로부터의 인식과 내부로부터의 인식
2. 개념과 이해
3. 인식 대상으로서의 비합리적인 것
4. 좀바르트의 경제학 비판
5. 논리학과 사회과학
4장. 주관적 가치 이론의 발전에 대해
1. 경제적인 것(Economic)의 경계 설정
2. 인간 행위의 기본적 요소로서 선호
3. 행복주의와 가치 이론
4. 경제학과 심리학
5. 경제학과 과학기술
6. 화폐 계산, 그리고 좁은 의미의 경제
7. 환율과 화폐 계산의 한계
8. 여건 변화
9. 경제에서 시간의 역할
10. 저항
11. 비용
5장. 주관적 가치 이론의 근본 문제에 관한 비평
1
2
3
4
6장. 경제 이론에 대한 반대의 심리학적 근거
서론
1. 문제점
2. 마르크스주의와 지식사회학의 가설
3. 적개심이 했던 역할
4. 자유와 필연
결론
7장. 가치 이론을 둘러싼 논란
8장. 자본의 전용 불가능성
1. 과거가 생산에 미치는 영향력
2. 과거가 무역정책에 미치는 영향력
3. 잘못된 자본 투자
4. 노동자들의 적응 능력
5. 잘못된 투자에 대한 기업가의 견해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