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장센은 영화의 표면이다. 여기에 영화의 모든 시각적 요소가 통제되어 있다. 영화의 서사는 1차적으로 이 표면에 담겨 있다. 모든 예술의 형식은 그만의 내용을 품고 있으며, 내용은 바로 그 형식을 통해 전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영화를 보고 이야기를 받아들일 때, 그 근저에는 미장센의 이해가 깔려 있다. 미장센의 이해가 곧 영화의 이해인 것이다. 하지만 미장센의 이해는 늘 부지불식간에 이루어진다. 줄거리 중심의 영화 보기에 치중하는 관객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이 책은 은밀하게 진행되는 미장센의 이해에 구체적인 모습을 부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열 개의 아이템을 간추렸다. 독자는 이 책을 통해 영화의 표면에 담긴 이야기의 깊이를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다. 건국대학교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의 마부르크필립스대학교에서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의 영화 미학적 양식화""에 관한 연구로 영화학 석사 ·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인문콘텐츠학회 학술이사와 편집이사, 한국방송학회 영상분과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미장센》(2016), 《장르영화》(2015), 《영상과 상호 미디어성》(2013), 《영상 이론과 실제》(2012), 《영화예술학 입문》(2009), 《유럽 애니메이션 대표작가 24인》(2006) 등이 있다. ""한국의 다문화 영화-장르적 접근""(2015), ""SF 영화의 다문화(주의)적 시선-디스트릭트 9""(2014), ""도가니와 부러진 화살-사회고발 매체로서의 법정영화""(2013), ""필름 누아르? 필름 블랑크!?박찬욱 감독의 박쥐""(2011), ""미하엘 하네케의 퍼니 게임-폭력의 형상화와 장르의 전복""(2010)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유럽의 작가영화와 영화 이론, 장르영화, 이미지와 미장센 등이 주요 연구 분야다.
01 공간과 세트
02 영화 의상
03 사물과 소품
04 프레임과 구도
05 초점 이동과 디프포커스
06 타블로
07 빛과 색채
08 카메라 움직임
09 컴퓨터그래픽스
10 장면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