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적 근대성을 중심으로 한국영화사의 일곱 가지 결정적 순간들을 분석한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조선영화부터 충무로 영화까지 한국영화사의 문제적인 고전과 영화문화를 통해 영화가 공식적인 역사기술로부터 배제된 한국의 역사를 분석하고 있다. 아리랑에서 자유부인, 바보선언으로 이어지는 영화 장르와 관객성 같은 대중적 상상력 등 영화문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영화사의 대안적 역사쓰기를 시도한다.
저자 주창규(朱昶奎, Ju, Chang-kyu)는 중앙대학교에서 한국영화를 공부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박사후연구원, 서원대학교 학술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에서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 ~ 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근대의 선정주의로서 신파극의 변형과 연쇄극의 출현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가 한국영화의 고전에 대한 연구였다면, 후속 연구로 『한국영화의 장르와 작가성』을 진행하고 있다.
책머리에 :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1부_ 조선영화의 식민적 근대성과 버나큘라 모더니즘
제1장 식민적 근대성의 멜로 드라마와 무성영화 《아리랑》의 탈식민성
1. 탈신화화된 《아리랑》의 재역사화
2. 식민적 근대성의 문화적 표현으로서 멜로 드라마와 시간 지체의 알레고리
3. 유럽이 지방화되었기에 제국이 검열할 수 없었던 저항
4. 유럽이 지방화된 공론장의 발견
제2장 버나큘라 모더니즘의 스타로서 무성영화 변사
1. 보이지 않는 조선영화문화의 목소리
2. 버나큘라 모더니즘의 스타로서 변사
3. 제3의 창작자에서 비난과 통제의 대상으로, 무성영화 변사의 위상 변형
4. 근대의 시간과 경쟁하는 버나큘라 공간의 소리
제3장 문예봉, 발명된 국민 여배우의 계보학
1. 문예봉, 발명된 국민 여배우의 계보학
2. 새로운 주체로서 은막의 여배우를 훈육하기
3. 침묵의 쿨레쇼프 효과로서 국민 여배우 문예봉의 탄생
4. 《지원병》과 《조선해협》에서 수행되는 문예봉
제4장 이행적 친일영화의 식민지 파시즘과 《집 없는 천사》의 이중의식
1. 《집 없는 천사》의 이중성과 불온한 성격
2. 이행적 친일영화와 신체제 애트랙?
3. 《집 없는 천사》에 나타난 식민지 파시즘의 노출증
4. 사회진화론과 라마르크주의 사이에서
2부_식민적 판타지, 비천한 스크린, 그리고 충무로 영화
제1장 노란 피부, 하얀 가면 무도회의 《자유부인》
1. 《자유부인》의 기억과 침묵
2. 거세된 민족의 페티시로서 《자유부인》
3. 노란 피부, 하얀 가면 무도회로서 충무로 여성관객성
4. 움직이지 않고 움직이는 《자유부인》의 시간성
제2장 식민적 판타지를 횡단하는 《하녀》
1. 《하녀》의 초국적 상상력과 보편성
2. 식민적 근대성의 기원적 판타지
3. 《하녀》가 재현하는 근대의 실패로서 모방
4. 서발턴한 과거와 식민주의로부터의 깨어남
제3장 군사독재의 비천한 스크린과 충무로 로드무비 장르 연구
1. 남자 둘 여자 하나, 한국영화사의 무의식적 장르
2. 군사독재의 비천한 스크린
3. 민족적 영화 장르의 가족 로망스
4. 광경으로서 풍경이 부재하는 충무로 로드무비 장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