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세대가 묻다.
""나무가 우리에게 전하는 지혜는 무엇인가요?""
강판권이 답하다.
""나무는 결코 다른 나무와 비교하지 않습니다. 자신만의 경험을 가지고 타고난 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가르칩니다.""
나무처럼 자기 결대로 사는 자존의 삶이
나와 우리 모두를 위한 지혜로운 삶이다.
나무 인문학자 강판권 교수가 나무에게 배운 자존감의 지혜
나무가 좋아 나무인간이 된 쥐똥나무 강판권. 자괴감에 빠져 힘든 시절을 보내던 그에게 나무는 용기와 희망을 주었다. 그가 나무에게서 얻은 가장 큰 깨달음은 자존감이다. 그가 본 나무는 결코 다른 나무와 비교하지 않으며 홀로 주어진 삶을 치열하게 살아갈 뿐이었다. 나무의 삶처럼 인간도 자신의 결대로 살아야 행복할 수 있다는 지혜를 전한다.
1961년 경남 창녕의 화앙산 북쪽 기슭 농촌에서 농군의 아들로 태어나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농사일을 거들며 자랐다. 산에서 나무를 하다가 결을 따라 자르지 않으면 나무는 쉽게 잘리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고, 잘려진 나무의 결과 무늬의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그 때부터 세상 모든 것을 나무를 통해 생각하게 되었고 그런 그를 그는 스스로 ""나무 환자""라고 부른다.
1981년 계명대 사학과에 입학했고 대학원에서는 중국 청대사를 전공했다. 당시 그가 쓴 그의 논문들의 제목은 「청대 안휘성 휘주부의 숲과 생태환경 변화」, 「숲과 문명: 인문학자의 시선」 등으로, 역사학을 전공했지만 역사를 환경과 인간의 생태와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연구해왔다. 1999년에는 중국의 농업경제사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금은 자신만의 학문세계를 만들기 위해 나무 공부에 미쳐 있으며, 나무로 역사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건축, 조경, 미술, 사진 분야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는 『어느 인문학자의 나무세기』, 『공자가 사랑한 나무, 장자가 사랑한 나무』, 『차 한잔에 담은 중국의 역사』, 『청대 강남의 농업 경제』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미국의 중국 근대사 연구』, 『1587, 만력 15년 아무 일도 없었던 해』,『조선을 구한 신목, 소나무』등이 있다. 그 중 『공자가 사랑한 나무, 장자가 사랑한 나무』는 민음사의 2003년 ""올해의 논픽션상"" 역사와 문화 부문을 수상한 바 있다.
여는 글 _자신만의 색깔로 살라
1장. 뿌리[根] : 근본은 아래로 향한다
뿌리가 아래로 향하는 이유 / 가장 힘들고 어려울 때 근본을 찾아야 / 보이지 않아도 보이는 것 / 나무를 세어 보았나요 / 사계절 나무의 모습을 담다 / 나무와 인문학자가 만나다
2장. 줄기[幹] : 삶의 줄기를 세워라
나무줄기의 색깔을 기억하나요 / 자신만의 색깔 만들기 / 부추기지 않아도 그리되는 것 / 줄기차게 산다는 것 / 스스로 치유하는 나무
3장. 가지[枝] : 자신의 능력을 펼쳐라
가지는 뻗어야 산다 / 필요한 가지만 뻗어라 / 할 수 없는 것과 하지 않는 것을 구분하라 / 진심을 다하는 자세 / 마주보는 나무
4장. 잎[葉] : 받아들이는 자만이 성장할 수 있다
빛을 사랑하는 잎 / 연둣빛 잎처럼 / 잎의 무늬를 보았나요 / 인생도 잎처럼 앞뒤가 있을까요 / 잎이 만든 그림자를 안아 보았나요 / 떨어진 잎은 어디로 갈까요
5장. 꽃[華] : 모든 생명체의 삶은 아름답다
꽃보다가 아닌 꽃처럼 /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나무 / 느티나무와 은행나무에도 꽃이 피나요 / 늦게 피는 꽃은 없다 / 아름답지 않은 꽃을 보았나요 / 내가 꽃을 사랑하는 이유
6장. 열매[實] : 결실은 공유할 때 싹을 틔운다
꽃이 진 자리에 열매가 / 열매는 떨어져야 한다 / 위험을 막아 주는 열매 / 나는 쥐똥나무
닫는 글 _꿈은 현실을 먹고 자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