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시인과 생명평화의 탁발승의 만남
섬진강 시인 김용택과 생명평화의 탁발승 도법이 만났다. 시인은 1948년생, 스님은 1949년생으로 같은 시대를 살아왔다. 시인과 스님이 걸어온 삶의 궤적은 서로 달랐지만, 그 지향점은 언제나 같았다. “모든 생명을 존중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삶”이다. 시인은 태어나고 자란 고향 진메마을에서 평생 교사로 지내며 아이들을 가르치고 시를 썼다. 그리고 지난 2008년 정년퇴임 후에는 ‘지구환경’에 눈을 돌리고 마지막 남은 삶의 과제로 환경과 인간의 문제에 천착하고 있다. 스님은 18세에 출가한 후 죽음이라는 화두를 붙잡고 10년 넘게 선방에서 수행을 하며 얻은 깨달음으로 ‘허무에서 연대로’ 나아가 지금도 길 위에서 진리실험을 계속하고 있다. 물질문명에서 비롯된 작금의 전 지구적 위기 앞에서 길을 잃어버린 한국인들에게 이 두 분의 삶은 ‘제대로 된 삶’의 한 전형이자, 앞으로 우리 시대가 나아가야 할 길의 예시이기도 하다. 그래서 시인과 스님의 만남은 가슴이 설레고 큰 기대를 갖게 만든다.
마을이 희망이다!-공동체 정신의 부활이야말로 우리의 미래다
현재 한국 사회는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다. 정치와 경제, 문화, 교육 등 기존의 패러다임으로 더 이상 감당하기 힘든 환경의 위기, 생명의 위기, 평화의 위기에 직면해 있기 때문이다. 시인과 스님은, 기존의 담론처럼 단지 문제의 원인을 지적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우선 시인과 스님은, 성과주의와 간판에 집착하는 한국의 교육이 근본적으로 개혁되지 않는 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진단한다. 그리고 모두가 잘 살고 싶어 하지만, 기존의 사회주의나 자본주의 같은 이념은 더 이상 해답이 될 수 없기에 공동체의 희망이 없다고 지적한다. 그래서 두 사람은, 전통적인 농촌공동체의 복원과 부활이 하나의 대안일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자연과 인간이 생태적 순환의 삶으로 연결된 마을, 인간의 정으로 뭉쳐 있고, 인간다움이 살아 있는 마을이야말로 지구촌의 새로운 삶의 가치로 부활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우리가 이미 가지고 있었지만 미처 깨닫지 못했던 위기 시대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면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시인과 스님은 자신들의 구체적인 삶 속에서 희망을 찾고 대안을 찾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에 제대로 된 삶의 한 전형으로 큰 울림을 준다.
1948년 전북 임실에서 태어나, 1982년 창작과비평사의 21인 신작시집 「꺼지지 않는 횃불로」에 ‘섬진강 1’ 외 8편을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고 김수영 문학상, 김소월 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1985년 첫 시집「섬진강」을 시작으로,「맑은 날」「누이야 날이 저문다」「꽃산 가는 길」「그리운 꽃편지」「그대 거침없는 사람」「강 같은 세월」「그 여자네 집」등의 시집을 출간했다. 또한 산문집으로「그리운 것들은 산 뒤에 있다」「작은 마을」「섬진강 이야기 1, 2」등이 있으며, 동시집「콩, 너는 죽었다」가 있다.
머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