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고령화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머지 않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미 고령화 사회로 들어선 일본에서는 2025년에는 치매 환자의 수가 700만 명이 넘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일본의 치매 대책과 정책은 무엇인지, 그것들에서 배울 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정주필
'' 치매는 국가에게 책임이 있다''라고 믿는 저자는
삼성전자에서 근무하였고, 현재는 글로벌번역(globaltrans.co.kr) 대표, 아포스티유코리아(apostille.co.kr) 대표, 4차산업혁명 글로벌콘텐츠연구소 운영, 한국번역가협회 와 (사)4차산업혁명연구원 이사로 활동 중에 있다.
저서로는 ''경제공약을 알면 돈이 보인다'' , ''4차산업혁명에 대비한 마인드 셋팅'' 등이 있다.
박선희
1973年서울출생. 1995년부터 9년간 일본유학.
한일번역통역전문학교 졸업 후 동경여자대학교 언어문화학과 일본어전공.
「의료기기법」「의료기기법 시행규칙」「KFDA가이드라인」번역등 다수의 일본서적 번역
현재 일본 동경에서 프리랜서로 번역가로 활동 중에 있다.
목 차
프롤로그
제 1 장. 치매란 무엇일까?
1-1. 치매의 정의
1-2. 치매의 원인 및 일반적 치료
1-3. 치매의 종류별 증상
제 2 장. 치매, 국가책임제란?
2-1. 개론
2-2. 국가책임제의 핵심
2-3. 각 계의 입장
제 3 장. 일본의 치매정책
3-1. 개론
3-2. 치매정책 추진 종합전략 (신오렌지 플랜)
제 4 장. 일본의 치매예방 및 방안
4-1. 치매의 이해
4-2. 병세에 맞는 의료와 간병 제공
4-3. 젊은 치매환자에 대한 정책 강화
4-4. 간병인에 대한 지원
4-5. 치매환자를 포함한 고령자에게 편안한 지역만들기 추진
4-6. 치매 예방법 연구개발 및 그 성과 보급추진
4-7. 치매환자와 그 가족의 시점 중시
제 5 장. 일본의 치매간병서비스
5-1. 종류와 내용
5-2. 다양한 활동
5-3. 치매 간병서비스 상품
제 6 장. 일본의 치매산업 현황
6-1. 치매예방 비지니스 동향
6-2. 치매치료제 시장 성장세
제 7 장. 일본을 통해 본 한국의 치매정책 및
치매기업현황
7-1. 개론
7-2. 한국의 치매정책
7-3. 초고령화로 인한 사회문제, ‘치매’
7-4. 한국의 치매기업
7-5. 최근의 정책변화
부록 #1 노인의 노쇠·치매와 한방치료 (1) 오가와 수미토(小川純人)
치매를 전망하며(2) Mori Hiroshi 森啓 일본치매학회 이사장
부록 #2 보도자료
- 치매, 초고령사회 일본에서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
[한의신문. 강환웅 기자]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