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도 위험사회로 진입했다는 인식에 기반을 두고 위험사회의 의미와 그에 부합하는 위험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패러다임 전환에는 저출산, 노동시장 불안정, 교육 기회의 불균등, 통일 충격의 대비, 기후변화 등 사회가 정책적 관심을 쏟아야 할 위험 영역의 확대와 위험의 사전 대응이 일상 속에 프로그램화되는 것도 수반될 것이다. 한편, 위험사회에 대한 새로운 비전 모색과 함께 위험사회의 주요 방편으로서 위험 거버넌스와 관련해 그 주요소들을 경험 연구들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여기에는 위험 거버넌스의 주요 자산이자 관리 대상인 위험 인식의 결정 요인, 위험 소통의 주요 매개체인 뉴스 미디어의 위험 보도 속성, 위험 소통에 내재된 도전적 과제 등이 포함된다.
주영기
한림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부교수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국민일보≫와 ≪미주중앙일보≫에서 취재·편집 기자, 뉴스 팀장 등을 역임했다. 미주리저널리즘스쿨에서 “언론 경제 보도의 부정편향성과 그 효과”(2009)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한림대학교에서 미국 신문사, 국제커뮤니케이션 등 이론 수업과 헬스 저널리즘, 지역신문 수습기자 등 실기 수업을 연계해 학생들과 지역 언론 ≪강원희망신문≫ 발행에 편집장으로 참여하기도 했다(2010∼2015년). 감정 촉발 요인(outrage factor) 등 위험 인식 결정 요인에 대한 설문, 실험, 내용분석 등을 활용한 연구 결과를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Health Commun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한국언론학보≫ 등 국내외 저널에 발표했다.
유명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 전공 부교수다. 서울대학교 간호학과를 졸업 후, 동 대학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동 대학원 보건학 박사과정 수료 후 미국 UC버클리 보건대학원 박사과정에 입학, 사회과학의 관점에서 건강과 보건의료 시스템을 학습했고 위험 인식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건강 정보와 지식의 비대칭성이 내재하는 의료와 공중보건 분야에서 전문가와 의료 조직의 책무성, 일반인의 건강 위험 인식을 주로 연구하며 양적, 질적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감염병 등 신종 공중보건 위기에 관한 정보의 확산과 미디어의 역할에 관해 연구를 진행 중이다.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Health Communication, ≪한국언론학보≫, ≪보건건강증진학회지≫ 등 국내외 저널에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01 위험사회란
02 위험사회, 위험관리, 위험인식
03 주요 위험인식 연구 동향
04 감정 촉발 요인
05 뉴스 미디어와 위험인식
06 뉴스 미디어 위험 보도 속성 I: 신종 출몰형 위험 극대화
07 뉴스 미디어 위험 보도 속성 II: 부정편향성
08 뉴스 위험 보도와 프레이밍
09 위험 소통의 도전적 과제
10 위험 거버넌스를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