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우드 비판과 K팝에 대한 자부심은 공존 가능할까? 지배와 종속의 인식 틀에 갇힌 문화제국주의론은 글로벌 문화 생산의 탈중심화를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디어 지구화를 문화 생산 및 수용의 지리적 집적과 확대로 이해하는 공간적 접근이 새로운 이론적 대안이 될 수 있을지 검토한다.
문상현
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와 정보통신정책학회 이사, TV조선 시청자위원과 공정보도특별위원,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보도교양분과 특별위원, ≪언론과 사회≫와 ≪방송통신연구≫ 편집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스마트미디어: 테크놀로지, 시장, 인간』(공저, 2015), 『디지털사회와 커뮤니케이션』(공저, 2014), 『소셜 미디어 시대를 읽다』(공저, 2014), 『인터넷 권력의 해부』(공저, 2008) 등이 있고, 논문으로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와 글로벌 미디어 기업의 대응 전략”(2015), “문화산업전문회사제도가 지상파방송의 드라마제작시스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2014), “미디어 산업의 지구화에 대한 통합적 분석틀의 모색: K-Pop의 사례를 중심으로”(2013),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학문적 지형과 이론적 과제”(2009) 외 다수가 있다. 미디어 산업과 거버넌스, 미디어 지구화,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이 주요 연구 분야다.
글로벌 문화 생산,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01 근대화와 미디어 지구화
02 문화 생산과 국제적 불평등의 구조화
03 자본주의 변화와 문화제국주의론의 쇠퇴
04 문화 노동의 신국제 분업
05 문화 생산과 집적의 경제학
06 미디어 클러스터의 지구적 확산
07 미디어 수도와 글로벌 문화 생산의 탈중심화
08 문화 생산과 수용의 탈지역화
09 글로벌 문화 생산과 참여적 사용자
10 기술혁신과 글로벌 문화 생산·수용의 변화: 음악 산업의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