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가 일상화되면서 영화의 색채는 점점 더 화려해졌고, 그만큼 더 중요해졌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관객들은 영화에서 색채의 중요성을 깊이 고민하지 않게 되었다. 컬러가 일상이기 때문에 고민할 필요가 없었던 것. 그러나 색채의 원리와 색채의 정서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대중문화가 토해 내는 무수히 많은 색채의 향연을 즐긴다면, 이는 분명 더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 책은 현대 추상화의 대표 작가 가운데 한 명인 바실리 칸딘스키의 색채 이론을 토대로 검정과 하양에서부터 파랑과 노랑, 빨강과 초록, 주황과 보라, 그리고 회색에 이르기까지 각 색채가 어떤 정서를 지니고 있는지, 그 원리는 무엇인지 살펴본다. 실제로 어떤 영화감독이 어떤 작품에서 특정 색채를 효과적으로 사용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강성률
광운대학교 동북아문화산업학부 교수다.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에서 영화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화평론가로 활동하며 여러 매체에 글을 쓰고 영화제 심사를 했다. 지금까지 지은 책으로는 『영화 비평-이론과 실제』(2016), 『여행은 아빠의 방학숙제다』(2015), 『한국의 영화 감독 4인을 말하다』(2015), 『은막에 새겨진 삶, 영화』(2014), 『감독들 12』(2012), 『친일 영화의 해부학』(2012), 『영화는 역사다』(2010), 『한국영화, 중독과 해독』(2008), 『친일영화』(2006), 『하길종 혹은 행진했던 영화 바보』(2005) 등이 있다.
01 영화 속 색채, 색채의 영화
02 하양, 천상의 색채, 또는 무(無)의 세상
03 검정, 죽음과 중후 사이
04 회색, 그 중도의 머뭇거림
05 노랑, 황금의 찬란함과 깊은 광기
06 파랑, 이상향적 우울
07 빨강, 열정과 경고의 아이러니
08 초록, 안정과 위협의 역설
09 주황과 보라 또는 보라와 주황
10 영화 팔레트, 장이머우의 <영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