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중요한 토픽을 정리했다. 핵심 요소들은 커뮤니케이션 주체로서 인간, 이들을 접속시키는 매개체로서 미디어, 그리고 이들의 작용에서 생기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현상이다.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미디어의 이해, 휴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미시에서 거시에 이르는 고찰과 그 모델 분석, 휴먼 네트워크 등의 문제를 다룬다. 여기에 인간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커뮤니케이션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인간과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뇌와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의 미래도 논의한다. 이런 논의는 우리에게 다가올 미래의 휴먼 커뮤니케이션 이해를 위한 통찰력을 갖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조창연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고려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공부하고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기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호학회·커뮤니케이션학회·언론학회·홍보학회·광고홍보학회의 회원, 편집위원과 임원을 지냈다. 현재 한국기호학회에서 이사를 맡고 있다. 일상의 대화를 비롯해 담론과 공론, 그리고 광고와 PR를 포함하는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현상을 뇌인지기호학적 시각에서 접근하고 연구해 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실제를 연결하는 융·통섭적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다. 『기호학과 미학』(공저, 2016), 『광고기호학의 핵심 이론』(2016), 『뉴로 커뮤니케이션』(2015),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커뮤니케이션』(2014) 등의 저서와 『iBrain, 아이브레인: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에 진화하는 현대인의 뇌』(2010), 『영화인지기호학』( 2007) 등의 역서가 있다. 논문으로는 커뮤니케이션과 기호학의 학제 연구인 “영상기호와 그 의미 생성에 대한 뉴로 기호학적 탐색 연구”(2013), “뉴로 기호학 패러다임?뇌의 기호생성과 그 의미생성에 대한 기호학적 탐색연구”(2010) 등 다수가 있다.
01 휴먼 커뮤니케이션 이론들
02 미디어의 이해
03 휴먼 커뮤니케이션 모델
04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미시적 관점
05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중시적 관점
06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거시적 관점
07 휴먼 네트워크
08 인간과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09 뇌와 커뮤니케이션
10 미래의 휴먼 커뮤니케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