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정치론』은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여 변화되고 있는 현실에 적응하고, 사이버에서 펼칠 수 있는 정치에 대해 설명한 책이다. 정보사회와 사이버 공동체에 대해 탐색하고, 온라인 정치와 디지털 정치참여에 대해 생각해본다. 또한 전자투표와 전자정부, 디지털 문화와 유비쿼터스 등 디지털 정부에 대한 내용을 펼치고 있다.
저자: 오관석
대학경력
전북대 정치학과 대학원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전주대, 원광대 충남대에서 연구과 강의를 하고 호남대학교 초빙교수를 거쳐 현재는 전북대 겸임 부교수로 재직 중임.
연구 및 학회경력
한국정치학회 회원, 한국행정학회 회원 지방정치학회 이사, 지방정부학회(사)이사, 충남대 사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연구원, 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 인문사회과학연구 KCI 편집위원장 및 심사위원장 등.
논문
디지털 군
제1편 정보사회와 사이버 공동체
제1장 정보사회의 기본관점과 담론
Ⅰ. 들어가는 말
Ⅱ. 정보사회를 바라보는 관점
1. 기술발달과 사회변화와의 관계
2. 사회체계의 연속성
3. 비관론적 전망
4. 사회체계론 비교
Ⅲ. 정보사회로의 이행
1. 기술결정론에 의한 사회체계 단절성
2. 사회결정론에 의한 사회체계 연속성
Ⅳ. 맺음말
제2장 사이버 공동체의 담론과 구조
Ⅰ. 들어가는 말
Ⅱ. 사이버 공동체의 이론적 접근
Ⅲ. 사이버 공동체와 사회적 담론
1. 사이버 공간의 유토피아적 담론
2. 사이버 공간의 디스토피아적 담론
Ⅳ. 사이버 공동체의 담론적 구조
1. 숙의의 담론형성의 장
2. 정책토론의 장
3. 민주적 담론의 구조
Ⅴ. 맺음말
제3장 사이버 공론장의 형성과 숙의의 민주주의
Ⅰ. 들어가는 말
Ⅱ. 공론장 형성과 숙의민주주의
1. 공공영역과 공론장
2. 공론장의 구조변화
3. 대안적 공론장과 사이버 공간
Ⅲ. 사이버 공론장과 민주주의의 잠재력
1. 커뮤니케이션의 발달과 민주주의
2. 민주적 잠재력과 숙의의 장
Ⅳ. 사이버 공론장의 행위양식과 숙의민주주의
1. 공론장과 온라인 행위양식의 담론
2. 사이버 공론장 구조변동
Ⅵ. 맺음말
제2편 온라인 정치와 디지털 정치참여
제4장 정치적 이슈에 관한 온라인 여론형성의 메커니즘
Ⅰ. 들어가는 말
1. 온라인 여론형성에 의미
2. 온라인 연론 형성 과정 및 구조
Ⅱ. 온라인 정치 여론 형성의 경험적 연구
Ⅲ. 온라인 여론형성을 위한 정치적 이슈의 표출
1. 정치적 이슈에 의한 여론생성과 1인(개인) 미디어
2. 정치적 쟁점과 공론형성의 장으로서 온라인 포털
3. 정치적 이슈의 표출과 여론의 다변화
4. 온라인 여론과 온오프라인 정치활동 연계
Ⅵ. 온라인 여론형성에 있어서 제약요인과 한계
1. 온라인 커뮤니티의 내재적 한계
2. 정치적 표출의 한계와 온라인 여론의 중우주의
Ⅴ. 맺음말
제5장 디지털 군중 정치참여의 동학과 한계
Ⅰ. 들어가는 말
1. 디지털 군중이란?
2. 디지털 군중 정치참여의 연구 방법
Ⅱ. 디지털 군중 정치참여의 선행 연구 및 이론
1. 디지털 군중 정치참여의 경험적 연구
2. 디지털 군중 정치참여 이론적 접근
Ⅲ. 현명한 군중(smart mobs)의 정치참여와 한계1. 현명한 군중의 모바일 미디어 참여유형
2. 디지털 군중(digital mobs)의 사이버 정치참여 한계
Ⅳ. 맺음말
제6장 모바일 미디어와 정치참여 유형의 변화
Ⅰ. 들어가는 말
Ⅱ. 모바일 미디어의 개념과 특성
1. 모바일 미디어 개념 및 구분
2.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특성
3. 모바일 미디어의 시공간적 영역
Ⅲ. 모바일 미디어와 정치과정
1. 모바일 공동체와 사회적 담론
2.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기능과 구조
3. 모바일 정치참여
4. 정치구조와 정치개혁
Ⅳ. 맺음말
제3편 전자투표와 전자정부 구현
제7장 공명선거를 위한 전자투표 실시방안
Ⅰ. 들어가는 말
1. 전자투표의 실시에 대한 당위성
2. 전자투표의 필요성
Ⅱ. 전자투표 의의와 기술적 특성
1. 전자투표의 개념과 투표방식
2. 전자투표의 일반적 특성
3. 전자투표 방식
Ⅲ. 공명선거를 위한 전자투표의 운영방식
1. 투표방식의 개선과 전자투표 인식
2. 전자투표의 운영과 적용사례
Ⅳ. 전자투표의 문제점과 그 한계
1. 전자투표의 기술적 문제
2. 전자투표의 제도적 인식문제
3. 전자투표 사회적 인식문제
Ⅴ. 맺음말
제8장 디지털 정당의 홈페이지 게시판 운영과 실태
Ⅰ. 들어가는 말
1. 정당 홈페이지의 운영 목적
2. 정당의 홈페이지 역할
Ⅱ. 정당 홈페이지의 기능과 성격
1. 인터넷의 정치적 의미와 정당
2. 정당 홈페이지의 운영 모형
3. 정당 홈페이지의 운영
Ⅲ. 정당 홈페이지 게시판
1. 홈페이지 게시판 개요
2. 정당 홈페이지의 게시판 운영 실태
Ⅳ. 맺음말
제9장 지방자치단체의 전자정부 구현과 평가
Ⅰ. 들어가는 말
1. 지방자치단체의 전자정부 구현
2. 전자정부의 연구방법
Ⅱ. 전자정부와의 선행연구 및 이론
1. 전자정부의 개념 및 평가분석
2. 전자정부 분석모형과 평가방법
Ⅲ. 지방자치단체 전자정부 분석 내용
1. 민원제기 : 대국민 서비스 기능
2. 정보공개 : 정보에 대한 접근 기능
3. 게시판 운영 : 전자민주주의 기능
Ⅳ. 분석 결과
1. 서울시 전자정부의 특성
2. 전자정부의 운영성
3. 전자정부의 구축성
Ⅴ. 맺음말
제4편 디지털 문화와 유비쿼터스
제10장 디지털 군중(digital mobs)의 시민성 부재
Ⅰ. 들어가는 말
1. 디지털 군중, 왜 시민성이 필요한가?
2. 디지털 시민성 연구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