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OPMS

전자정부와 u-패러다임

오관석 | 진한엠앤비
  • 등록일2018-02-22
  • 파일포맷pdf
  • 파일크기13 M  
  • 지원기기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 보유현황보유 2, 대출 0, 예약 0
  • 평점 평점점 평가없음

책소개

유비쿼터스 컴퓨팅 전문가 시리즈 제 20권『전자정부와 U 패러다임』. 이 책은 대학 강의교재로써 대학생들이 전자정부와 IT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용에 관해서 이해할 수 있는 참고도서이다. 정보사회의 IT 기술과 전자정부 도입, 전자정부 추진과 행정개혁, 전자정부의 유형별 사업과 역기능, 유비쿼터스 IT기술과 패러다임으로 구성하여 살펴본다.

저자소개

저자: 오관석
대학경력
전북대 정치학과 대학원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전주대, 원광대 충남대에서 연구과 강의를 하고 호남대학교 초빙교수를 거쳐 현재는 전북대 겸임 부교수로 재직 중임.
연구 및 학회경력
한국정치학회 회원, 한국행정학회 회원 지방정치학회 이사, 지방정부학회(사)이사, 충남대 사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연구원, 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 인문사회과학연구 KCI 편집위원장 및 심사위원장 등.
논문
디지털 군중(Digital Mobs)의 시민성 부재에 관한 연구 외 KCI 논문 수십여 편 재.
저서(단행본)
-「디지털 정치론」진한M&B, (2010).
-「지방 정치사회와 엘리트와 」학술정보(주), (2007).
-「지방 정치문화와 참여」학술정보(주), (2007).
-「자본주의 국가의 이해」학술정보(주), (2007).
-「정보사회와 미디어 정치」인간사랑, (2007).
-「사이버정치와 e-거버먼트」인간사랑, (2004) (대한민국학술원 2006년 우수도서선정).
- (공저)「지역사회엘리트 문헌이해」오름, (2002), 외 십여 편 재.
-「사이버정치와 e-거버먼트」인간사랑, (2004) (대한민국학술원 2006년 우수도서선정).
- (공저)「지역사회엘리트 문헌이해」오름, (2002), 외 십여 편 재.

목차

제1편:정보사회의 IT기술과 전자정부 도입
제1장 정보사회의 전자민주주의와 전자정부 개관
Ⅰ. 정보사회란 무엇인가?
Ⅱ. 정보사회의 도래와 발전
Ⅲ. 전자민주주의와 전자정부의 상관성
1. 전자민주주의와 전자정부
2. 전자민주주의의 실현 가능성
3. 전자정부 구현과 행정개혁
Ⅳ. 맺음말
제2장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Ⅰ. 인터넷 통신망의 잠재력
Ⅱ. 인터넷의 개념과 발전
1. 인터넷 개념
2. 인터넷의 발전
3. 인터넷 서비스
4. 인터넷 기술기반
Ⅲ. 정보통신기술의 속성과 역할
1. 정보통신기술의 속성
2. 정보통신기술의 상용화
Ⅳ. 사이버 공동체와 네트워크
1. 사이버 공동체 특성
2. 지역정보 네트워크
Ⅳ. 맺음말
제3장 전자정부 추진현황과 패러다임
Ⅰ. 정보기술과 전자정부의 비전
Ⅱ. 정보화사업과 전자정부 패러다임
Ⅲ. 전자정부의 추진유형과 발전
1. 정보화 초기의 전자정부 추진체계
2. 국가정보화 사업과 모바일 전자정부
3. 참여정부 정보화전략과 u-전자정부
Ⅳ. 유비쿼터스 IT기술과 전자정부 발전
Ⅴ. 맺음말
제4장 세계 각국의 전자정부 추진과정
Ⅰ. 각국의 전자정부 추진 요인
Ⅱ. 각국의 전자정부 추진목표
1. 미국 전자정부의 추진과정
2. 일본 전자정부의 추진과정
3. 영국 전자정부의 추진과정
4. 중국 전자정부의 추진과정
Ⅲ. 각국의 전자정부 서비스
1. 미국의 전자정부 서비스
2. 일본의 전자정부 서비스
3. 영국의 전자정부 서비스
4. 중국의 전자정부 서비스
Ⅳ. 각국의 전자정부의 구축현황
Ⅴ. 맺음말
제2편:전자정부 추진과 행정개혁
제5장 전자정부의 유형과 추진체계
Ⅰ. 전자정부 구현의 당위성
Ⅱ. 전자정부의 이론적 배경과 개념 개념
1. 전자정부의 등장 배경
2. 전자정부의 개념과 논의
Ⅲ. 전자정부의 구성 요소와 유형 형
1. 전자정부의 구성 요소
2. 전자정부의 유형 분류
Ⅳ. 전자정부의 추진체계와 정향
1. 전자정부 추진 목적
2. 전자정부의 위상
3. 전자정부의 역할
4. 전자정부의 이념
5. 국민을 보는 시각
Ⅴ. 맺음말
제6장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논의
Ⅰ. 행정개혁의 필요성
Ⅱ.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1. 전자정부의 행정개혁 의의
2. 전자정부의 행정개혁 이념
3. 전자정부의 행정개혁의 역할과 조직구조
4.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정향
Ⅲ. 전자정부의 행정개혁 추진현황
1. 전자정부의 효율성 강화와 행정개혁
2. 전자정부의 민주성 강화와 서비스 개선
Ⅳ. 전자정부 한계와 문제점
1. 전자정부 내부의 구조개혁의 한계
2. 전자정부 추진체계 부족과 리더십 부재
3. 전자정부 업무의 한계
4. 전자정부의 정보공개와 서비스 문제
5. 정보인권 침해 문제
6. 법적·제도적 준비 미비
Ⅴ. 맺음말
제7장 국가정보화 전략과 전자정부 법체계
Ⅰ. 정보화 초기 전자정부 추진배경
Ⅱ. 정보화 추진현황
1. 정보화 추진과정
2. 행정 전산망 사업
Ⅲ. 전자정부 법·제도 정비
1. 전자정부법의 제정배경
2. 전자정부법 의의와 내용
Ⅳ. 맺음말
제8장 참여정부 전자정부 구현과 로드맵
Ⅰ 전자정부 추진 현황
Ⅱ. 전자정부 서비스의 구현
1. 대국민 행정 서비스 혁신
2. 전자정부 생산성 향상
3. 전자정부 기반 구축
Ⅲ. 참여정부 정자정부 비전과 목표
1. 참여정부 정자정부 추진 배경
2. 전자정부 로드맵 과제의 구조
3.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로드맵 목표
4. 전자정부 로드맵 추진방향 및 전략
5. 전자정부 추진체계
Ⅳ. 맺음말
제3편:전자정부의 유형별 사업과 역기능
제9장 전자정부의 홈페이지 관리 및 운영
Ⅰ. 한국의 전자정부 위상
1. 한국의 전자정부 위상
2. 전자정부의 연구방법 및 범위
Ⅱ. 전자정부의 평가모형
1. 전자정부의 성숙도 평가모형
2. 홈페이지의 관리 및 운영
Ⅲ. 조사기관 홈 페이지 특성
1. 정부기관 홈페이지
2. 공사기관 홈페이지
3. 자치단체 홈페이지
Ⅳ. 분석 결과
Ⅴ. 맺음말
제10장 전자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인터넷 투표
Ⅰ. 왜 인터넷 투표를 도입해야 하는가?
1. 인터넷 투표의 당위성
2. 인터넷 투표의 효과성
Ⅱ. 인터넷 투표의 특성과 투표방식
1. 인터넷 투표의 추이
2. 인터넷 투표의 특성
3. 인터넷 투표방식
4. 인터넷 투표절차
Ⅳ. 인터넷 투표의 한계
1. 제도상 문제점
2. 기술적 문제점
Ⅴ. 맺음말
제11장 모바일 전자정부의 고도화
Ⅰ. 왜 모바일 전자정부인가?
1. 모바일 전자정부 추진배경
2. 모바일 전자정부의 필요성
Ⅱ. 모바일 전자정부 개념과 기술적 특성
1. 모바일 u-전자정부의 태동
2. 모바일 u-전자정부 추진 동기
3. 모바일 전자정부 개념 및 제약요인
4. 모바일 u-전자정부 구성요소
5. 모바일의 기술적 특성
Ⅲ. 모바일 전자정부 고도화와 적용사례
1. 모바일 전자정부 고도화
2. 모바일 전자정부 구축 사례
Ⅳ. 모바일 전자정부 한계와 문제점
Ⅴ. 맺음말
제12장 전자정부의 제약요인과 역기능
Ⅰ. 전자정부 추진과 과제
Ⅱ. 전자정부의 평가와 제약요인
Ⅲ. 전자정부의 한계와 역기능
1. 사이버 범죄의 등장
2. 전자감시 사회와 사생활 침해
3. 정보격차 문제
Ⅳ. 맺음말
제4편:유비쿼터스 IT기술과 패러다임
제13장 유비쿼터스 IT기술사회와 디지털 건버전스
Ⅰ. 유비쿼터스 IT기술이란 무엇인가?
Ⅱ. 유비쿼터스 용어 정의와 개념
1. 유비쿼터(Ubiquitous)의 개념
2.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3. 유비쿼터스 네트워크(Ubiquitous Network)
4. 유비쿼터스 정보기술(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Ⅲ. 유비쿼터스 기술적 특성과 구성요소
1. 유비쿼터스 기술적 특성
2.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의 구성요소
Ⅳ. 디지털 컨버전스와 지능기반 사회
1.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가속화
2. 유비쿼터스 사회와 패러다임 변화
3. 유비쿼터스 사회변화와 문화확산
Ⅴ.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의 역할
1. 공급자로서 정부의 역할
2. 수요자로서 국민의 역할
Ⅵ. 맺음말
제14장 u-Korea 기본계획과 국가전략
Ⅰ. u-Korea 기본계획과 전략적 의미
Ⅱ. u-Korea의 개념과 추진전략
1. u-Korea 기본 계획의 추진 배경과 필요성
2. u-Korea 기본 전략수립
Ⅲ. IT839 추진배경과 전략
1. IT839의 전략 수립 배경
2. IT839 전략과 목표
3. IT839 실천과 정치·사회적 효과
Ⅳ. u-Korea 기대효과와 향후과제
1. u-Korea 기대와 파급효과
2. u-Korea의 문제해결 과제
Ⅴ. 맺음말
제15장 한국사회의 u-City 추진전략과 현황
Ⅰ. 새로운 도시공간과 u-City
Ⅱ. u-City와 제3의 공간
1. u-City 개념과 지능형 도시
2. u-City 건설의 필요성
Ⅲ. u-City 구축을 위한 기술적 기본요소
1. u-City 핵심 추진요소
2. u-City 핵심 추진체계
Ⅳ. 국내의 u-City 추진 현황과 사례
Ⅴ. 해외 각국의 u-City 건설 사례
1. 정보기술 중심의 u-City 현황
2. 서비스 중심형 u-City 현황
Ⅵ. u-City 도시 한계와 추진체계의 미비점
색인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