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OPMS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이태호 | 생각의나무
  • 등록일2018-02-22
  • 파일포맷pdf
  • 파일크기51 M  
  • 지원기기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 보유현황보유 2, 대출 0, 예약 0
  • 평점 평점점 평가없음

책소개

조선 후기 화가들은 조선의 아름다운 산하, 곧 우리나라의 명승을 즐겨 화폭에 담았다. 이를 `진경산수화`라고 하는데, 중국 송·명 시기의 산수화풍을 기리던 관념미에서 벗어나 우리 땅의 현실미를 찾았기 때문에 한국회화사에서 커다란 업적으로 주목받는 영역이다.

이 책은 『옛 화가들은 우리 얼굴을 어떻게 그렸나』로 관심을 모았던 미술사가 이태호 교수의 30년 연구 생활을 아우르는 작품이다. 중국 문화와 산하를 동경하던 조선시대 사람들이 언제부터 우리 산과 들에 관심을 가지고 그리기 시작했는지, 어떤 관점으로 조선 땅을 바라보고 비경과 흐름을 묘사했는지를 시기별·작가별로 설명한다. 저자는<금강전도>와 <인왕제색도>부터 <대동여지도>까지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에 담긴 한반도 비경을 직접 사진에 담아, 그림 속 풍경과 실제 풍경을 비교하여 아름다운 우리 땅의 어제와 오늘을 읽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 이태호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이자 문화재위원. 홍익대학교 회화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를 거쳐 전남대학교 교수 및 박물관장, 명지대학교 박물관장을 지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근현대회화까지 한국회화사 전반에 폭넓은 관심을 가져왔으며, 초상화, 풍속화, 진경산수화 등 조선 후기 회화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옛 화가들은 우리 얼굴을 어떻게 그렸나』 『조선 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조선 후기 회화의 기와 세』 『풍속화』 『미술로 본 한국의 에로티시즘』 『조선미술사기행』 『우리 시대 우리 미술』 등이 있으며, 공저로 『한국의 초상화』 『고구려 고분벽화』 『운주사』 『한국의 마애불』 등이 있다.

목차

책머리에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아름다움 - 도원桃源을 꿈꾸다 조선 땅을 만나다
Ⅰ. 진경산수화론
1. 보고 그리기와 기억으로 그리기 - 진경산수화의 시방식과 화각
시작하며
실경을 닮게 혹은 닮지 않게
기억에 의존해 그린 화가
실경 현장에서 그린 화가
마치며
2. 금강산과 금강산 그림 - 한국 산수화의 모태
시작하며
민족예술을 풍요롭게 한 절경이자 영상
금강산 형상 표현은 문학보다 그림이 낫다
닮은 것과 닮지 않은 것, 정선의 금강산 그림
진경산수화의 확산: 정선 일파와 문인화가의 금강산 그림
현장사생의 맛을 살린 김홍도의 금강산 그림
마치며
3. 20세기의 금강산 그림 - 현장에서 그린 사생화와 기억으로 담은 追想畵
시작하며
금강산의 관광지 개발과 대중화
20세기 전반의 금강산 사생화
20세기 후반 금강산 추상화
마치며
4. 고지도의 회화성 - 대지를 그리는 또 하나의 시각
시작하며
지도와 회화
축척지도에 표현된 경물도형의 회화성
조선 후기 그림지도의 유형과 화풍
마치며
Ⅱ. 우리 땅을 그린 화가들
5. 겸재 정선 - 조선 진경산수화의 완성자
〈박연폭도〉 정선의 실경 표현방식
시작하며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두 가지 유형
정선의 세 가지 실경 표현방식
박연폭이 창출한 시와 음악과 회화
〈박연폭도〉의 표현방식
마치며
〈쌍도정도〉 양필법과 연록담채로 풀어낸 초기 진경화풍
시작하며
정선의 사십대 행적과 작품 제작 시기
쌍도정의 위치와 〈쌍도정도〉의 화풍
실경사생법의 전통과 정선 화풍의 형성
마치며
6. 진재 김윤겸 - 겸재 일파의 선도작가
시작하며
김윤겸의 가계와 행적
김윤겸의 진경 작품세계
마치며
7. 지우재 정수영 - 지도학 집안이 배출한 개성적 사생화가
시작하며
정수영의 가계와 생몰연대
정수영의 진경 작품세계
마치며
8. 단원 김홍도 - 정선과 쌍벽을 이룬 진경 화가
김홍도의 진경산수 - 사실적으로 그린 명승과 일상풍경
시작하며
김홍도의 활동과 회화 경향
진경산수
사경산수
마치며
김홍도 화풍의 여운 - 이풍익의 《동유첩》에 실린 금강산 그림들
시작하며
《동유첩》의 탄생 배경과 여정
《동유첩》에 실린 작품들과 기행시문의 감명
마치며
9. 설탄 한시각 - 진경산수의 선례 17세기 함경도 실경 그림들
시작하며
한시각의 집안과 활동
《북새선은도권》의 과거시험 행사도
《북관수창록》의 실경도
마치며
10. 동회 신익성 - 인조 시절의 사생론과 실경화 〈백운루도〉
시작하며
17세기 문예사에서 신익성의 위치
서화 취미와 사생론
《백운루첩》의 〈백운루도〉
마치며
찾아보기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