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OPMS

날개ㆍ권태ㆍ종생기(외)

이상 | 범우사
  • 등록일2018-02-22
  • 파일포맷epub
  • 파일크기6 M  
  • 지원기기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 보유현황보유 2, 대출 0, 예약 0
  • 평점 평점점 평가없음

책소개

불후의 천재작가라고 일컬어지는 이상의 작품들을 엮은 책. 타처로의 비상을 그린 이상의 대표작 날개 죽음 혹은 자신의 생매장에 의하여 현재의 궁지를 벗어나고자 했던 종생기 등과 같이 현재의 생활에서 해방되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쓰여진 작품을 비롯하여 지주회시 권태 슬픈이야기 등 모두 12편의 작품을 수록했다.

저자소개

이상 저자 이상은 1910년 9월 23일 새벽 6시경(음력 8월 20일 묘시경) 지금의 서울시 종로구 사직동에서 아버지 김연창(金演昌)과 어머니 박세창(朴世昌)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3세 때 조부 김병복(金炳福)의 성화로 자손이 없는 백부 김연필(金演弼)의 양자로 들어가게 된다. 1917년 4월 인왕산 밑에 자리한 4년제 학교인 신명학교(新明學校)에 입학한다. 과목 중에 지리와 도화를 특히 좋아했다고 한다. 1921년 신명학교를 졸업한 뒤 불교 재단에서 경영하는 견지동의 동광학교(東光學校)에 입학한다. 하지만 해경이 입학한 지 4년째 되던 해 동광학교가 조선불교중앙교무원이 인수한 보성고보에 합병되어 4학년으로 편입하게 된다. 그림을 잘 그렸으며 교내 미술전람회에서 [풍경]으로 입선하기도 한다. 1926년 3월 5일 보성고보를 졸업하고 해경은 곧장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에 입학한다. 12명의 입학생 중에 조선인은 불과 3명에 지나지 않았으며 해경은 3년 동안 수석을 다툴 정도로 뛰어난 성적을 유지한다. 2학년 때에는 경성고공 회람지인 [난파선]의 편집을 주도했으며 여기에 삽화와 자작시를 싣는다. 1929년 3월 경성고공을 졸업하고 그해 4월 조선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사로 취직한다. 그해 11월 조선총독부 관방회계과 영선계 기수로 자리를 옮긴다. 12월 조선건축학회 기관지 [조선(朝鮮)과 건축(建築)] 표지 도안 현상 공모에 1등과 3등으로 당선된다. 이듬해 그의 처녀작인 ≪십이월 십이일≫을 ≪조선(朝鮮)≫에 9회(2월∼12월)에 걸쳐 연재한다. 이 소설은 그의 최초의 한글 창작 소설이자 최초의 소설이며 또한 유일한 장편소설이다. 그해 여름에는 그를 죽음으로 내몬 첫 각혈을 하게 되어 건강이 쇠약해진다. 1931년 7월 [조선과 건축] 표지 도안 현상 공모에 당선된 인연으로 이 잡지의 ‘만필(漫筆)’란에 일문 시 [이상(異常)한 가역반응(可逆反應)]을 발표한다. 시에 전념하면서도 해경은 그림을 놓지 않았으며 조선미술전람회에 [자화상(自畵像)]이 입선되기에 이른다. 그는 서양화가 구본웅(具本雄)을 알게 된다. 꼽추 구본웅과의 교류는 그의 집으로까지 이어진다. 당시 구본웅의 집은 당대의 시인 소설가 화가 영화감독 등이 모여들던 문화 아지트(구인회)였다. 1934년에 여기에 가입하여 박태원 이태준 정지용 김기림 김유정 김환태 등과 교류한 전후로 수많은 작품이 탄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교류와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은 백부의 죽음(1932년 5월 7일 뇌일혈) 총독부 기수직 사임(1933년 3월) 금홍과의 만남과 다방 ‘제비’ 경영(1933년) 동거(1933∼1935년) 결별(1935년) 카페 ‘제비’·‘쓰루’·‘69’·‘무기’ 경영 실패 결혼(1936년) 죽음(1937년) 등으로 이어지는 그의 생의 형언할 수 없고 돌이킬 수 없는 허무의 심연이다. 이것은 생의 아이러니와 역설을 가능하게 하여 독화(毒花)로서의 미적 파토스를 발생시킨다. 생의 파멸(육체의 죽음)과 예술의 탄생이 아이러니하게 혹은 역설적으로 뒤얽혀 있는 것이다. 1932년 3월과 4월에 소설 [지도(地圖)의 암실(暗室)]과 [휴업(休業)과 사정(事情)] 시 [건축무한육면각체(建築無限六面角體)]는 그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꽃나무](1933) [이런 시(詩)](1933) [거울](1933)을 1934년 8월에는 ≪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에 우리 시사(詩史)의 기념비적인 작품인 [오감도(烏瞰圖)]를 발표하기에 이른다. 독자의 거센 항의로 15회로 연재가 중단된 이 작품은 근대적인 삶과 예술 전반에 만연해 있는 상투성의 파괴와 해체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방가르드의 한 표상으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그에게 1936년은 생의 한 정점을 이룬다. 무엇보다도 [지주회시](6월) [날개](9월) [봉별기](12월) 같은 그의 생을 총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작품들이 모두 이해에 쓰였다. 그의 생이 맞닥트린 생의 심연을 넘어서려는 강한 열망을 담은 소설이 [날개]라면 [종생기]는 여기에서 훨씬 더 나아가 죽음 이후의 생이라는 역설까지 이야기하고 있다. 1936년 10월 중순경 동경에 건너가 동경부(東京府) 신전구(神田區) 신보정(神保町) 삼정목(三町目) 101의 4호의 니시카와가(西川家)에서 생활한다. 그곳에서 ‘삼사문학(三四文學)’ 동인들과 교유하기도 하고 김기림 안회남 동생인 김운경과 서신을 교유하기도 하지만 동경 생활에 환멸을 느낀다. 1937년 2월 12일 일본 경찰에게 ‘불령선인(不逞鮮人)’으로 체포되어 니시간다(西神田) 경찰서에 34일간 수감되어 있다가 3월 16일 건강악화로 풀려난다. 결국 그는 1937년 4월 17일 새벽 동경제대 부속병원에서 생을 마감한다.

목차

판권
목차
▨ 이 책을 읽는 분에게
?? 날개
?? 동해(童骸)
?? 봉별기(逢別記)
?? 지주회시(會豕)
?? 종생기(終生記)
?? 단발(斷髮)
?? 환시기(幻視記)
?? 실화(失花)
?? 황소와 도깨비
?? 권태(倦怠)
?? 매상(妹像)
?? 슬픈 이야기
□ 연 보
저자소개 / 화보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