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가 마주한 한국 사회 부조리한 일자리 현실
이 책은 사회/정치/법 분야 도서입니다.
저자 : 희망제작소 (기획)
저자 희망제작소 (기획)은 민간독립연구소로 연구와 실천을 함께하는 ‘싱크앤두탱크Think&Do Tank’를 지향한다. 2006년 3월, ‘21세기 신新 실학운동’이라는 슬로건 아래 창립됐다. 이후 5,000여 명에 이르는 시민 회원의 후원과 지지를 바탕으로, 경제 성장과 형식적 민주주의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시민의 힘으로 바꿔가기 위한 토대를 만드는 데 힘써 왔다. 구체적으로는 지역과 중앙이 균등하게 발전하고, 시민들의 다양한 아이디어가 현실이 되며, 사회 혁신의 방법을 통해 구조적·고질적 문제들이 해결되고, 현장 기반 교육으로 혁신적 공공 리더가 많아지는 사회를 위해 ‘싱크’와 ‘두’를 이어가고 있다.
저자 : 김민아
저자 김민아은 공인노무사. 건설노조 법규차장, 언론노조 조직부장을 거쳐 노동법률원 법률사무소 ‘새날’에서 교육·연구 사업을 기획하는 연구원으로 일했다. 이 프로젝트 진행 중 사직하고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노동법 상담과 교육, 특히 파업 중인 노동조합의 특별 자문을 주로 해 왔다. 변화하는 노동정책과 노동법 개정, 그에 따라 집단적 노사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관심이 많다.
저자 : 김빛나
저자 김빛나는 ‘노인’과 ‘퀄리티 에이징Quality aging’을 키워드로 삼아 일하고 있다. 지금은 시니어 헬스 케어 회사 매니저로 재직 중이다. 아직 20대지만 60대 이후의 일과 삶까지 생각하는 편이고, 나이 친화적인Age friendly 일자리 환경에 관심이 많다. 최근 밀레니얼 프로젝트(밀레니얼 세대의 공익 활동을 이해하고 촉진하기 위한 연구)에 참여해 2030세대의 가치관을 연구했다.
저자 : 김정민
저자 김정민은 영상 예술을 전공했다. 일찍부터 스스로 밥벌이한 덕분에 1~3섹터에서 다양한 노동을 경험했다. 자신의 노동 경험을 정리하고, 나름의 대안을 찾기 위해 현재 직장에 다니면서 일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대학원에서 사회적 경제와 북한학을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 ‘청년창업자의 노동감수성 향상을 위한 방법’(서울연구원) 연구를 수행하기도 했다.
저자 : 송지혜
저자 송지혜는 〈시사IN〉 기자. 2년을 준비해 기자가 되었고 7년 동안 울면서 기사를 썼다. 대체로 사람이 죽거나 죽기 직전에 이를 법한 일들을 취재했다.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해서 좋아하기 힘든 상황을 안고 가야 하는 현실을 자주 마주한다. 일의 모순을 극복하는 데 관심이 있다. 예를 들면 빠르고 정확한 취재나 노동권 없는 인권 같은…. 2015~2016년 ‘살고 싶어서 퇴사합니다’ 시리즈를 취재했다.
저자 주수원은 협동조합 교육·연구·언론인. 대학생 때 대학 생협 학생위원회로 활동한 경험이 인생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학 교직원으로 일하던 중 (사)협동조합연구소로 이직했고, 이후 협동조합 분야 강의 및 집필 활동을 해 왔다. 현재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정책위원으로 있다. 《만들자, 학교협동조합》 등을 냈고, 전국학교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사무총장도 맡고 있다.
저자 최태섭은 문화평론가. 성공회대학교 사회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문화·노동·젠더·계급을 중점에 두고 한국 사회를 분석하고 있다. 《잉여사회》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공저) 등을 썼다. 열정 노동의 문제와 노동의 변화에 관심이 있다.
저자 홍진아는 스스로를 ‘프로N잡러’로 부르며, 현재 ‘N잡’ 실험 중이다. 월·목요일에는 ‘진저티프로젝트’에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로, 화·수·금요일에는 민주주의 활동가 그룹 ‘빠띠’에서 콘텐츠 기획자로 일한다. 그 밖에도 ‘와일드 블랭크 프로젝트’ ‘외롭지 않은 기획자 학교’ ‘연희동 나쁜 페미니스트’ ‘디모스’ 등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다. 특정 조직이 개인을 대변하는 시대는 지났다고 생각하며, 변화하는 일 환경에 관심이 많다.
저자 황세원은 국민일보 기자,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홍보팀장을 거쳐 희망제작소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사회적 경제와 노동을 주제로 연구 및 활동을 해 왔다. 한신대 사회혁신경영대학원에서 사회적 경제 전공 석사학위를 받았다. 희망제작소에서 좋은 일의 새로운 기준을 찾기 위한 ‘좋은 일, 공정한 노동’ 기획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보드게임 ‘좋은 일을 찾아라!’를 개발하기도 했다.
추천사
프롤로그
1 우리의 일자리 현실, 대체 왜 이럴까?
2030세대의 노동 이야기, 시작합니다_황세원
지금 몇 번째 직장에 다니시나요? | 우리 이야기, 우리가 직접 해 봤습니다
2030세대가 유달리 괴로운 이유는? | 하고 싶은 일을 직업으로 삼으라고 배운 세대
안정적 직장이라는 환상과 쏠림 | 우리는 좋은 일을 찾을 수 있을까?
2 우리는 직장을 여러 번 그만뒀습니다
나의 안정을 찾아서_황세원
고용 안정의 의미는 어느 세대에게나 똑같을까?
고용 안정을 기준으로 진로를 선택한 적 있나요? | 우리가 원하는 게 정년 보장일까?
안정된 직장에서도 느끼는 공포 | 다른 삶을 상상할 수 있는 기회
정규직의 분명한 장점, 확실한 소속감 | 계급이 돼 버린 정규직, 차별을 만들다
정규직은 곧 한 줌밖에 남지 않는다 | 채용 공정성의 붕괴, 공시 열풍
조직보다 개인의 안정 | 일하는 사람 관점의 유연성이 필요하다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사회를 꿈꾸다
3 휴가 가려고 사표 냅니다
일과 쉼의 공존 가능성_송지혜
휴식이란 뭘까, 잊고 사는 직장인들 | 좋아하는 일을 해도 탈출하고 싶다
연간 5주 휴가, 주 35시간, 칼퇴근 | 오래 쉬고 나니 분노가 사라졌다
경쟁력을 위해서라도 휴식을 늘려야 할 때
휴식이 있는 삶과 노동하는 삶은 모순일까? | 월급이 줄어도 주 4일제!
사표 내지 않고도 충분히 쉬려면 | 나는 더 많이 원한다고 말하자
4 일하는 만큼 버는 사회 맞나요?
잠재력 대신 잠과 재력을_김정민
나를 당당하게 하는 건 정기적 수입 | 사람을 초라하게 만드는 고민들
학자금 대출에 눌린 첫 세대 | 경조사비, 내고 계세요?
잠재력 대신 잠과 재력을 | 안정적 소득에 숨어 있는 부가 혜택
먹고사니즘과 호캉스 | 임금 유연성에서 노동 안정성으로
다른 사람의 슬픔에 무뎌지지 않는 삶
5 월급쟁이와 머슴의 차이는 뭔가요?
노동조합이 필요한 이유_김민아
2030세대의 특징과 청년 노동자의 관점 | 의미 없는 일에 허비할 시간이 없다
조직은 나를 지켜 주지 않는다 | 노동조합 경험자는 100명 중 서너 명
노동조합의 사회적 책무 | 노동운동이 힙하고 세련됐다면?
높은 임금보다 시간을 원하는 세대 | 평생직장에서 정류장이 된 조직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동조합은 필요하다 | 노동조합의 조직력을 워라밸에 쓰자
2030세대에 맞는 보상과 소통 방식 | 점점 더 다양해지는 노동에 안전망을
6 프리랜서는 행복할까?
생존이 목표가 된 사람들_최태섭
엉켜 버린 1987과 1997, 그리고 디지털 노마드 | 프리랜서로 일하는 이유
조직의 비효율성을 견딜 수 없다 | 좋아하는 일을 하니 나머지는 감수하라?
사실은 조직 밖으로 떠밀리는 중 | 프리랜서도 4대 보험이 필요하다
시대에 맞지 않는 조직, 조직에 맞지 않는 개인 | 생존이 목표가 된 청년들
카페를 전전하는 우리, 언제까지 여기 있을까? | 자유를 지키면서 안정성도 얻을 수는 없을까?
7 전문성을 어떻게 키워요?
대체 불가능한 인재라는 함정_홍진아
1만 시간의 법칙을 따르면 전문가가 될까? | 모호한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질문이 필요하다
전문가는 일의 방향을 아는 사람 | 다양한 전문성을 알아보는 문화를 위해
대체 불가능한 사람이 되라는 메시지의 아이러니 | 내 일의 역사가 증명하는 나의 전문성
한 가지 일을 꾸준히 해야 전문성이 길러진다? | 전문 계약직, 위험하기만 한 것일까?
8 회사 욕도 못 하는 우리들의 사정
내가 춤출 수 없다면 혁명이 아니다_주수원
밀레니얼 세대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 가치 지향 노동은 활동인가, 직업인가?
가치 있는 노동과 저녁이 있는 삶 | 작은 조직 안에도 민주주의가 필요하다
열악한 경제적 상황보다 조직 문화의 문제 | 가치 지향 노동의 모순 드러내기
여전히 부족한 대화, 떠나는 2030 | 부족함을 인정하고 다시 시작하자
9 취업은 복불복이어야 하나요?
미래의 노동자를 존중하라_김빛나
모집 인원 ○명, 내규에 따름, 협의 후 결정? | 눈 뜨고 코 베이는 구직자들
사회 초년생에 더 가혹한 조직 문화 | 인재상 말고 어떤 조직인지 알고 싶다
인사 담당자의 한마디 “우리 회사 꼰대 없음” | 입을 떼기 어려운 슈퍼 을
근로조건+α | 근로계약서 사전 공개 법제화 | 고민과 정보를 나눌 안전망의 필요성
노동자를 존중하는 작지만 큰 시도
10 무엇이 달라져야 할까?
좋은 일자리를 위해 하나만 바꾼다면_황세원
이제는 변화를 이야기하자 | 노동시간 제도, 좀 획기적으로 만들 순 없나요?
좋아서 일해도 야근 수당은 줍시다 | 아웃소싱 회사인데 정규직이 무슨 의미죠?
취업 전에 알리자, 사용자 불법행위 대처법 | 주 10시간 일해도 4대 보험 들 수 있는 사회
사용자에게도 노동권 교육을! | 작은 사회적 대화를 모아 일터의 풍경을 바꾸자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