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중국과 한반도』는 중국과 한반도 간에 발생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금융위기 이후 중국과 한반도관계를 고찰하고자 했다. 중국 외교정책의 기본맥락과 변화의 논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반도 위기상황 및 조어도 분쟁 등 갈등사안들을 중심으로 금융위기 이후 중국과 한반도 간에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서문
제1부: 부상하는 중곡, 변화하는 대외정책
제1장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대외인식 변화
1. 금융위기 이후 국제사회의 지각변동
2. 중국 대외정책의 기본 맥락
3. 정책기조의 변화: 국력과 국제적 역할의 함수관계
4. 중국의 대외전략 담론: 대외전략 탐색기?
제2장 변화하는 강대국 관계: 2010년 한반도 위기와 중미갈등
1.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대중 인식 변화
2. 나비효과: 천안함 사건과 중미 경합(博?)
3. 오바마 정부 대북정책의 실질
4. 강대국 사이에서, 균형 감각이 필요한 한국
제3장 중국의 주변국 대응 전략 변화: 2012년 조어도 분쟁을 중심으로
1. 중국의 조어도 분쟁 대응, 어떻게 볼 것인가?
2. 조어도 분쟁의 배경: 주요 쟁점과 해법의 한계
3. 2012년 조어도 분쟁: 중국의 대응패턴의 변화
4. 분쟁대응의 국제정치적 함의
5. 동아시아의 과제: 탈이념적 지역정체성의 수림
제2부: 믿지 못할 ‘신뢰‘, 북중관계와 북한의 변화
제4장 후진타오체제의 한반도인식과 대북정책
1. 중국의 대(對) 한반도인식
2. 중국의 대북정책 논리와 정책 로드맵
3. 2차 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북정책
제5장 두만강지역 개발과 북중 국경협의 정치경제
1. 지경학적 시각에서 본 두만강지역 개발사업
2. 중국의 북중 국경지역 개발과 ‘창지투 선도구‘ 개발전략
3. 북중 국경협력의 전개와 북한의 참여
4. 북중경협 평가 및 과제
제6장 김정은시대 북한 체제개혁의 과제: 격동기(1976~1978) 중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1. 북한의 체제개혁과 외적 변수
2. 이론적 시각: 구조- 형대론적 접근
3. 중국의 경험: ‘문화대혁명‘의 종식과 체제개혁
4. 정권교체기 북한 체제개혁 동향
5. 북한 체제개혁의 과제: 비교의 관점
제7장 북한의 변화를 위한 국제공조
1. 제3차 북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북정책 향방
2. 국제공조: 한중협력의 관점에서
제3부: 협력과 갈등의 이중주, 한중갈등의 해법은?
제8장 한중관계와 북한문제: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1. 협력과 갈등의 이중주: 한중관계 현주소
2. 북한문제를 둘러싼 한중갈등: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의 한계
3. 한중 양국의 대북정책: 무엇이 문제였나?
4. 북한문제 해결을 위한 한중 양국의 노력 방향
제9장 한중갈등의 근원 재조명: 2011년 서해어업분쟁을 중심으로
1. 구조화되고 있는 한중 어업분쟁
2. 갈등의 유래: 한중어업협정 체결과 어업분쟁
3. 경과: ‘12ㆍ12‘사견의 발생과 한중갈등
4. 평가: 쟁점과 해석
5. 갈등 최소화를 위한 제언
제10장 중국의 한국 이해: 중국학계 한국정치연구의 현황과 과제
1. 중국하계 한국정치 연구 재성찰의 필요성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중국의 한국정치 연구동향
4. 학문적 이해 증진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