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군사 외교관 이야기』는 군사 외교관의 모든 것을 말하다! 한/미연합부대 근무자의 관점에서, 군사학교나 학위과정의 유학생 관점에서, 연락장교/교환교관의 관점에서, 국방무관의 관점에서, 그리고 유엔 PKO 관리직 관점에서 서술한 군사 외교관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군사 외교관이 되기 위한 준비 과정부터, 실제 근무 이야기, 그리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까지 제시하고 있는 이 책을 통해 군사 외교관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저자 :
저자 김성웅은 1977년 육군사관학교 제33기로 임관한 후, 32년의 군 생활을 마치고 대령으로 전역하였다. 군 생활을 하는 동안 대대장, 연대장 등 지휘관과 국방대학교 리더십개발원 교육실장 및 각급 부대 참모를 경험하면서도, 군사 외교관으로서 한/미연합야전군 사령부 2년을 포함하여 모두15년간을 미국, 유럽, 중동, 인디아 등지에서 공부 하고, 근무하였다. 주요 관련 경력은 미국 국방언어학교, 미국 해군대학원 유학, 미국 육군지휘참모대 연락장교 및 교환교관, 주 오스트리아 국방무관, 주 이집트 국방무관, 그리고 유엔평화유지군(PKO) 인디아-파키스탄 정전감시단 부지휘관 등으로 근무하였고, 전역 후에도 계속해서 관련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학력으로는 미국 해군 대학원 OR/SA(운영분석학) 석사, 미국 캔사스 주립대학교 교육학 석사, 미국 웹스터 대학원 경영학 석사 등이 있다.
책을 준비하며
Part 01 군사 외교관에 대한 이해
Chapter 1 군사 외교관의 정의
Chapter 2 국제 정치 체제와 유럽 외교사 요약
Chapter 3 군사 외교관의 의미상 분류
3.1 해외 파견 군사 외교관
3.2 국내 근무 군사 외교관
Chapter 4 군사 외교의 지향방향과 군사 외교관의 역할
Part 02 군사 외교관이 가져야 할 자질과 준비과정
Chapter 1 군사 외교관 자질 함양의 필요성
Chapter 2 군사 외교관이 갖추어야 할 자질
2.1. 어학능력으로 잘 무장된 자
2.2. 직무지식의 함양: 일반 전문지식과 군사전문지식 그리고, 주재국 전문 지
2.3. 국제적 감각의 소유자
Chapter 3 군사 외교관 자질 함양 사례48
3.1. 한/미 연합 야전군 사령부(1982. 5-1984. 1)
3.2. 미국방언어학교: 끊임없이 영어 공부에 매진하며, 점차 국제관계에 눈 을 뜨다.
3.3. 정직(청렴)과 팀웍, 그리고 전문지식을 배운 미국 해군 대학원
Part 03 군사 외교의 현장에서
Chapter 1 미 제병협동사 연락장교 / 지휘참모대학 교환교관(1993.6-1995.6): 군사 외 교의 산 교육장67
1.1. 군사 외교관의 보람-학습이 아닌 실습
1.2. 본격적인 군사 외교 활동(공식적인 군사자료수집)
1.3. 군사 외교의 첫걸음은 대인관계
1.4. 부인의 역할이 중요
1.5. 임시 진급의 유용성
1.6. 전문 보고식과 개조식(요약식)
1.7. 다양한 국제행사를 개최하는 군사학교
1.8. 자원(Volunteer)제도, 후견인(Sponsor) 제도, 그리고 기부(Donation) 제도
1.9. 초청 외교의 활용
1.10. 군사 외교의 모범생, 싱가폴 장교
1.11. 의지와 능력 / 1.12. 다양한 전문 지식
1.13. 고위급 인사 방문이 남긴 군사외교적 양면성
1.14. 선물 문화와 청렴성
1.15. 교환교관의 개념 발전과 직명 개정
1.16. 해외에 있을 수록 지휘 주목
Chapter 2 주 오스트리아 국방무관(1997.9-2000.9): 군사 외교관의 꽃, 국방무관
2.1. 예술의 도시가 선사하는 즐거움
2.2. 국제 감각의 발전과 영어와 주재국어 공부의 필요성
2.3. 재외 공관생활과 직원 상호간 호칭문제, 무관에 대한 대사의 배려
2.4. 군사 외교관의 업무와 매너: 현지에 가면 현지의 문화와 규범을 따라야 한다.
2.5. 초청행사와 군사 외교, 그리고 와인
2.6. 무관의 차별화된 군사 전문성 부각 노력
2.7. 주요 인사들의 방문 협조 및 주재국 인사 한국 방문 지원
2.8. 군사훈련과 훈련장
2.9. 상훈 수여의 상호 존중성과 효율성
2.10. 국제기구에서 군사외교활동
2.11. 외국 기관 요원의 접근 I
2.12. 주재국의 무관단 ‘스키 주간’ 행사와 주재국 최고봉 Gross Glockner 산 등반 일화
2.13. 비엔나 협약 상의 외교관의 특권과 면제 /
2.14. 겸임국(헝가리) 활동: 잦은 방문의 성과
Chapter 3 주 이집트 국방무관(2002.9-2005.8): 격동의 현장
3.1. 관심과 각광을 받았던 파견지-후진국 파견 무관과 선진국 파견 무관의 근무시 차이점
3.2. 라마단에 대한 이해
3.3. 이라크 침공과 한국군 파병지 선정 및 반감 완화 활동
3.4. 고위직 방문 및 선물교환
3.5. 주재국 고위직 한국 방문추진 및 인적교류 활성화
3.6. 방산 수출 활동 일화
3.7. 한국 해군 순항분대 방문/ 스에즈 운하 통과 지원
3.8. 이집트 군과 장교단
3.9. “인샤알라”-만찬 약속을 깨뜨린 이집트 무관운영실장의 무
3.10. 길고도 오랜 제 4차 중동전쟁의 승전 축하 행
3.11. 스에즈 운하와4차 중동전의 주전장-시나이 반도
3.12. 엘 알라메인 전투 위령제
3.13. 무관단 여행과 총무 역할
3.14. 북한무관과 중국무관
3.15. 외국 기관 요원의 접근 II
3.16. 겸임국(요르단) 활동: 무관부 신규 개설 지
3.17. 겸임국(튜니지아) 활동: 대사의 배려
Chapter 4 유엔 평화유지군 인-파 정전 감시단 부단장(2006.1-2007.7): 유엔이 요구하 는 장교상
4.1. 인도-파키스탄의 분쟁지역-캐시미르
4.2. 유엔 정전 감시단 본부의 근무 분위기
4.3. 임무단 단장(사령관) 의 신분과 중요성
4.4. 임무단 단장의 선발과정과 유엔이 요구하는 장교상
4.5. 군인 부단장과 민간인 행정관
4.6. 참모업무 등 군사 교리와 보고내용 판단 기준의 상이성
4.7. 투철한 고발 정신, 정직함과 장교의 명예심
4.8. 핀란드 군인들의 유별난 사우나 사랑
4.9. 캐시미르? 정전 감시 작전지역 투어
4.10. 현지에서는 위생관리에 엄청난 신경을 써야 한다
4.11. 관광명소 라호르 국경 수비대
4.12. 현지 대사관에 보고
4.13. 세상은 넓고 볼 것도 많다
Part 04 군과 국제사회를 향한 더 큰 기여
Chapter 1 국방 및 군사전략 분야의 주축인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