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 역사』는 활동사진으로 출발한 한국 영화는 이제 산업화에 따른 다양성 문제, 지속 성장을 위한 과제, 글로벌화에 대한 대응 등 안팎의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 영화가 말해 왔고, 말하고 있는 시대의 기록과 함께 그 영화를 생산하고 소비한 사회구조와 대중심리를 성긴 프레임으로 엮었다.
저자 :
저자 김미현은 영화진흥위원회 국제사업부 팀장이며 세종대학교 영화예술학과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에서 『한국 시네마스코프에 대한 역사적 연구』(2005)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7년 가을학기부터 1년간 하버드 대학 시각예술학부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냈다. 2001년 영화진흥위원회에 입사한 후 한국 영화사를 비롯해 영화산업과 문화정책을 연구하는 일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
주요 저술로 『한국영화사: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책임편집, 2006), 『창의성에 대한 11가지 생각』(공저, 2009), 『한국영화 정책과 산업』(2013) 등이 있고, 논문에는 “《안개》의 모더니즘과 비판적 근대성”(2012), “한국영화 자본조달 구조와 유형에 대한 연구”(2012), “지역의 영상정책 사례: 한국과 프랑스의 지역협력형 사업을 중심으로”(2013) 등이 있다.
01 활동사진과 극장가의 형성(1895∼1923)
02 식민지 대중문화와 무성영화(1923∼1935)
03 유성영화와 근대의 삶, 군국주의(1935∼1945)
04 해방과 한국전쟁, 정치적 격변기(1945∼1957)
05 미국 문화, 근대화, 그리고 가족(1958∼1962)
06 영화 정책과 장르영화(1963∼1971)
07 유신시대와 청춘 문화(1972∼1979)
08 민주화와 전환의 시대(1980∼1989)
09 영화 산업 구조 변화와 제작 경향(1990∼1999)
10 영화 산업과 상업적 작가주의(2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