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에는 보급목표를 재설정 하고 산업목표를 새로이 설정할 예정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이행수단으로 ’12년 RPS시행, ’15년 RFS(수송) 시행 예정, ’16년 RHO(열공급 의무화)시행을 위한 법 개정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의무화 정책 추진에 따라 전체 신재생에너지 공급량 중 폐기물에너지(67.7%, 2012년 기준)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바이오에너지(15%)의 사용이 증가될 예정이며 신재생에너지 의무화 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바이오에너지의 안정적인 국내 중장기 원료 수급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바이오에너지 수요증가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내 잠재되어 있는 미활용 바이오매스의 활용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으며, 그 중 작물 및 농업 부산물의 경우 잠재량은 높으나 에너지화 비율이 낮아 그 활용증진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농업부산물은 발생하는 시기나 장소 그리고 바이오매스 특성 자체가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농업부산물 종류별로 가지고 있는 열량, 발생 시기 및 장소, 발생량, 보관방법, 생산주체 등 을 고려하여 이를 활용하기 위한 수거이용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수행체계
제2장 농업부산물 바이오매스 활용가능성 및 기반검토
제1절 농업부산물 바이오매스 자원잠재량 분석
1. 조사방법
2. 조사결과
제2절 농업부산물 바이오매스 기술수준 분석
1. 농업부산물 바이오에너지화 기술
2. 농업부산물 바이오에너지화 기술수준 분석
제3절 농업부산물 관련 바이오에너지 산업현황
제4절 농업부산물 바이오에너지화 가격경쟁력 비교
1. 농업부산물 혼합펠릿 가격경쟁력
2. 농업부산물 바이오에탄올 가격경쟁력
제5절 농업부산물 바이오에너지 활용가능성 종합검토
1. 농업부산물 활용가능성 종합분석
2. 농업부산물 활용가능성 결론
제3장 미활용 농업부산물 수거 및 유통방안
제1절 수거 현황조사
1. 주요 농업부산물 수거현황
2. 농업부산물 에너지화 유통현황
3. 농업부산물 수거 및 유통가능성 평가
제2절 활용을 위한 유통방안 도출
1. 유사사례조사
2. 벤치마킹 시사점
제3절 농업부산물 수거/자원화 모델
1. 농업부산물 발생 규모/형태별 수거모델
2. 농업부산물 자원화 모델
3. 농업부산물 수거·에너지화 시범사업 모델
제4장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사례 및 정책적 시사점
제1절 국내외 바이오매스 관련 정책 및 사례
1. 국내외 바이오매스 관련 정책
2. 국내외 바이오매스 관련 생산량 및 활용사례
3. 국내외 바이오매스 활용 관련 사례
제2절 정책적 시사점
제3절 정책과 연계 가능한 사업모델 도출
1. 농업부산물 에너지화로 인한 수익창출 모델
2.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연계된 농업분야 사업 형태
제5장 농업분야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추진전략
제1절 농업부산물 에너지화의 장애요인
1. 기술상의 장애요인
2. 정책상의 장애요인
제2절 정책 방향 제시
1. 기술상의 현안과제 해결방안
2. 정책상의 현안과제 해결대안
3. 농업(임산)부산물 수거사업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