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이 암울했던 일제강점기, 우리에게도 이런 왕족이 있었다!
평생 일제에 저항하다 광복을 맞은 날 장례를 치른
비운의 왕자, 이우의 삶을 조명한 아름답고도 슬픈 소설
영화 <덕혜옹주>에 잠깐 등장해 수려한 외모와 비밀리에 독립군을 지원하는 강인한 면모로 강렬한 존재감을 남긴 이우 왕자의 삶을 조명한 아름답고도 슬픈 소설 《이우 왕자》(전2권)가 출간되었다. 이우 왕자는 고종 황제의 다섯째 아들인 의친왕의 차남으로, 덕혜옹주와 고모-조카 관계이다.
그의 삶은 한 편의 드라마와도 같다. 그는 열한 살에 일본에 볼모로 끌려가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에서 일했으나 끊임없이 일제에 저항하며 조선 왕족으로서 마지막 자존심을 지켰다. 일본 군사학교에서도 당당하게 조선말을 쓰고 조선 노래를 불렀으며, 일본 여성과 강제로 결혼시키려는 일제의 압박을 이겨내고 조선 왕족 중 최초로 조선 여자와 결혼했다. 상해 임시정부로 망명을 시도했던 의친왕의 저항정신을 이어받아 독립 후 민중이 주인 되는 나라를 꿈꾸었으며 비밀리에 독립운동을 지원하기도 했다. 그러나 간절히 바라던 조선 독립을 눈앞에 두고 히로시마에서 원자폭탄에 피폭되어 서른넷의 나이로 사망,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광복을 맞은 날 장례를 치렀다. 그리고 이우를 보좌하던 일본인 부무관 요시나리 중좌(중령급)는 이우가 사망하자 할복하여 그를 따라 죽는다. 평생 조선 독립을 꿈꾸며 일제에 저항했으나 단 한 순간도 독립된 세상에 살아보지 못한 이우의 비극적인 삶은 일본인 부무관마저 따라 죽을 정도로 많이 이들에게 큰 울림을 주었다.
5년간의 취재와 집필, 국내 미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완성한 역사 팩션
저자는 이우의 인물됨과 드라마틱한 삶에 매료되어 5년간 한국과 일본의 사료들을 조사하고 직접 답사를 다니며 이 소설을 완성했다. 그중 일본에서 제작한 <민족과 해협>과 <항일―한일병합의 그림자>라는 두 편의 다큐멘터리에서 국내에 미공개된 새로운 내용들을 찾아내 소설화했다. 또한 이우가 일본 군사학교를 다니던 시절 유일한 한국인 동기생이 쓴 일본 책에서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지기 바로 전 날, 이우의 행적과 그의 죽음에 관한 수수께끼들을 풀어냈다.
<항일―한일병합의 그림자>의 제작자인 일본인 마츠나가는 이우의 죽음을 뒤따른 요시나리에게 흥미를 느꼈으며 ‘이우가 어떤 인물이었기에 일본인인 요시나리가 따라 죽었을까’라는 의문으로 이우를 추적해갔고 이 다큐멘터리에서 이우가 독립지사를 비밀리에 지원하고 있었음을 밝힌다.
“한일합방에 의해서 조선왕조의 사람들은 일본 황족에 준하는 대우를 얻었지만, 그중에 일본 육군 중령의 신분을 가지면서도 독립지사를 비밀리에 지원하고 있던 이우의 생애를 쫓는다.” ―<항일―한일병합의 그림자>에서(마츠나가 에이미, 히로시마쥬코크, 1994)
이처럼 여러 사료들을 바탕으로 소설로 탄생한 《이우 왕자》는 이우의 항일 행동과 인품을 드러내는 여러 일화들이 담겨 있다. 그의 행적을 따라가다 보면 나라를 빼앗긴 마지막 왕자의 고독하고 치열한 심리적 갈등과 내면을 엿보게 된다.
일제강점기 조선 왕실과 독립운동가들의 초상,
이우와 독립군 딸과의 애틋하고 가슴 아픈 사랑 이야기
이 소설에는 일제강점기의 암울했던 시대상 속에서 일제에 협력하며 안락한 삶을 누리던 사람들, 일제의 핍박 속에서 끼니조차 해결하지 못하던 조선 민중들 그리고 목숨을 걸고 독립운동에 투신한 사람들의 다양한 초상이 등장한다. 또한 근대화가 급속히 진행되던 경성의 역동적인 모습과 다양한 볼거리도 나온다. 경성여고보(현 경기여고)에 다니는 여학생들과 신여성들의 생활상, 친일파들의 기회주의적인 삶의 행태 등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이 소설의 가장 큰 재미는 상해 임시정부에서 요직을 맡고 있는 독립군의 딸인 정희라는 가상의 인물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소설의 또 다른 주인공인 정희는 독립에 대한 열망을 품고 아버지를 따라 독립운동에 뛰어드는 인물로, 이우와 강한 교감과 연대감을 나누며 애틋하고 아름다운 사랑을 펼친다. 이우와 정희가 석파정에서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는 장면은 홀로 외로운 싸움을 감당하는 두 인물의 처지와 겹쳐져 감동을 자아낸다.
저자는 “정희는 나라와 민족에 대한 순수한 사랑, 자신의 신념을 끝까지 지켜내는 강단, 조선 해방에 대한 확신을 가졌던 실제 우리나라 독립운동가의 초상이다. 또한 그녀의 마지막은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실제로 죽어나가던 모습이다. 정희를 통해 우리나라 독립운동가의 모습을 일부나마 보여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한다.
오직 이우라는 인물에 대해 알고 싶어 펜을 들었다. ‘우리에게도 이런 왕족이 있었나’라는 궁금증에서 시작해 5년간 매일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다 보니 한 편의 소설이 완성되었다. 그 시간을 돌이켜보면 내 인생이라는 총천연색 영화 중간에 일제강점기의 흑백영화가 끼워진 느낌이다. 이 글을 통해 많은 이들이 이우의 삶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되기를 바란다.
기로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