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인찬, 이이체, 이우성, 유계영, 안희연, 송승언,
서윤후, 박 준, 박소란, 박성준, 김 현, 김승일
소소한 일상부터
창작에 관한 진지한 비밀까지,
우리 시대 젊은 시인들에게 질문을 던지다!
그들이 궁금하다!
시집이 읽히는 시대가 다시 돌아온 것인가. 분위기는 일군의 젊은 시인들이 주도하고 있다. 그들의 시집이 많이 읽히는 현상은 이른바 ‘SNS 시’나 초판본을 복간한 시집 등이 대형 서점의 베스트셀러에 오르는 것과는 많이 다르다. 그들은 팬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충성도 높은 독자층을 거느리고 있다. 아울러 시에 못지않게 시인 당사자에 대한 관심도 한 몸에 받고 있다. 시의 시대라던 1980년대처럼 시가 사회적 담론을 선도하는 시대도 아니고, 그들이 대중적 감성에만 절절히 호소하는 시를 쓰는 것도 아닌데도 말이다. 심지어 ‘훈련’되지 않은 일반 독자들이 읽기에 꽤 어려운 시들도 많다. 그럼에도 그들의 시와 시인에 대한 열광적인 지지는 멈추지 않고 있다. 《나는 매번 시 쓰기가 재미있다》는 바로 이 궁금증에서 기획이 시작되었다.
기획 위원인 김근, 이영주 시인은 젊은 시인 12인을 선정하기로 했다. 특별한 기준이 있지는 않았다. 일단 대상은 2000년대 말부터 2010년대 초에 데뷔해 비교적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시인들로 한정했다. 그중 ‘많은 독자들에게 회자되어 왔거나’, 기획 위원들이 ‘그의 시에 충격을 받았거나’, ‘친하거나’, ‘반했거나’, ‘유독 대하기 어렵거나’, ‘무척 궁금해 마지않는’ 시인들을 골랐다. 선정에 다분히 기획 위원들의 친분과 취향이 작동했다는 뜻이다. 따라서 이 책에 실린 시인들만이 현시대를 대표하는 젊은 시인인 것은 아니다. 당연히 이 책에 실리지 않았다고 현시대를 대표하는 젊은 시인이 아닌 것도 아니다. 기획 위원들은 눈여겨볼 젊은 시인들이 무척 많아 12인을 선정하기까지 오랜 시간 동안 고심이 깊었다고 전한다.
그들에게 던진 질문들……
젊은 시인들을 선정한 후 독자들이 궁금해할 질문들을 마련했다. 일상에 관한 소소한 질문부터 시에 관한 진지한 질문까지 던져 젊은 시인들의 삶과 창작의 내밀한 부분을 들여다보고자 했다.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처음 시를 쓰게 된 계기는? 그때와 지금은 무엇이 다른가? /
습작하는 동안 가장 힘들었던 점은? 어떻게 극복했는가? /
시가 오는 순간은? / 왜 쓰는가? 어떻게 쓰는가? / 세계란 무엇인가? /
독자란 무엇인가? / 시를 쓸 때 버릇이 있는가? 언제 쓰는가? /
자신의 시에서 가장 애착이 가는 시는? 혹은 대표작이라고 할 만한 작품은? 왜 그런가? /
시를 쓰는 일 이외의 일상이 궁금하다. 그 일상은 시가 되는가? 된다면 어떻게 되는가? /
취미는? / 기억에 남는 사랑이나 연애가 있는가? 그것이 창작에 영향을 미쳤는가? /
어떤 책을 읽는가? 어떤 영화를 보는가? 어떤 음악을 듣는가? /
시인이 되지 않았다면? 시인이 되기 전의 꿈은 무엇인가?
차이 또는 일치 사이의 간격
질문에 답한 시인들의 글은 서로 다른 듯하면서 묘하게 일치하는 지점들도 보인다. 예를 들어 ‘시가 오는 순간’에 대한 답변들을 보라. 일부는 시란 어느 순간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고 항변하고, 일부는 시가 문득 찾아오는 순간이 있다고 고백한다. 그러면서 시는 찾아오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유가, 찾아오는 순간의 과정과 조건이 시인 따라 다르다. 차이 또는 일치 사이에 나타나는 제각각의 간격은 12명의 젊은 시인들이 각자 다른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바탕일 것이다.
질문을 살펴보면 알겠지만, 시를 적기 시작한 출발부터 습작기와 등단 이후, 시와 관련하거나 하지 않는 일상과 취미 등에 대해 솔직히 답하고 있다. 한마디로 그들의 언어가 어디로부터 비롯되어 어떤 습작의 과정을 거쳐 어떻게 이 시대의 첨단 감수성을 지니게 되었는지 한눈에 알아볼 수다. 또한 그들이 어떻게 새로운 감수성을 향해 나아가는지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젊은 시인들이 궁금한 독자들뿐 아니라, 시인이 되고자 고군분투하는 습작생들에게도 일독을 권하는 이유이다.
책에 실린 시인들의 글은 각자의 시만큼 개성을 담고 있다. 질문에 충실하게 답하기도 하고, 질문을 보기 좋게 배반하기도 한다. 따뜻하고 다정한 말투로 조곤조곤 이야기를 들려주는가 하면, 시종일관 시크한 태도로 툭툭 날카로운 대답을 던지기도 한다. 시인 각자의 시와 닮기도 하고 한편 다르기도 한 시인들의 속내를 듣다 보면 어느새 그들을 사랑하게 될지도 모른다.
1981년 서울 출생. 2009년 《문학수첩》으로 등단. 시집 《심장에 가까운 말》이 있다.
시는 당신이 아니라 당신의 흔적이다
- 김승일
이곳의 소수자
- 김현
쓰는 동안의 동안
- 박성준
전부를 말하지 않아도 되니까
- 박소란
사랑과 연애의 잔상
- 박준
시 다음 잠 다음 시 다음 잠 다음……
- 서윤후
나는 매번 시 쓰기가 재미있다
- 송승언
나의 시, 나의 알렙El Aleph
- 안희연
모르는 아름다움을 모르는 채로 적어 두는 일
- 유계영
시를 잊고, 다시 시를 쓰다
- 이우성
의미의 의심과 의심의 의미
- 이이체
시를 벗어나는 시, 시가 아닌 시, 시를 의심하는 시
- 황인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