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것」을 문화로 생각해 보는 것이 「식의 문화」이다. 먹는 것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의 주류(主流)는 주로 그 재료 생산에 관한 농학 분야, 음식 가공을 다루는 조리 분야, 음식이 인체에 어떻게 흡수되는가를 조사하는 생리학?영양학 분야에 화제가 집중되어 있었다. 그것은 먹는 사람의 마음의 문제에 대해서는 미처 생각이 미치지 못해서 그런 것은 아닐까?
감수의 말
서장. 일본 식문화사의 과제
Ⅰ. 연구사를 뒤돌아보며
Ⅱ. 식(食)과 사회적 환경
Ⅲ. 음식에 있어서 행동과 마음
Ⅳ. 식문화의 자율적 전개
제1부 일본식의 원상(原像)
제1장 일본적 식생활의 형성
Ⅰ. 서론
Ⅱ. 구석기 시대
Ⅲ 죠몬 시대(縄文時代)
Ⅳ. 야요이 시대(弥生時代)
Ⅴ. 고분시대(古墳時代)
Ⅵ. 아스카(飛鳥)ㆍ나라(奈良)ㆍ헤이안(平安) 시대
Ⅶ. 북(北)과 남(南) 그리고 산간(山間) 사람
제2장 일본인의 주식
Ⅰ. 하루 묵으며 한 끼 밥(一宿一飯), 천 채의 집(一千軒)
Ⅱ. 껍질이 붙어있는 멧돼지(이노시시)를 세 접시 더 먹음
Ⅲ. 채소절임(쯔게모노, 漬物) 광에 된장(味噌)통, 소금 뿌려 절인 정어리
Ⅳ. 토란, 두부 된장꼬치구이(でんがく), 피(稗)밥, 팥밥
Ⅴ. 미숫가루를 도시락으로
Ⅵ. 문화는 콤비로 퍼진다.
Ⅶ. 무(大根)도 토란도 주식이었다.
Ⅷ. 시집갈 때에, 토치나무(トチのき-칠엽수)를
Ⅸ. 대구(タラ-) 밥을, 배불리
Ⅹ. 일본인은 잡식 민족이기 때문에 쌀이 상품으로 성립하였다.
XI. 술의 안주가 반찬을 만들게 하다.
XII. 염장(鹽藏)과 발효(醱酵)의 기술이 반찬을 발달시켰다.
XIII. 기름이 적은 독자적인 식생활
제3장 어머니의 맛은 살기 위한 지혜
Ⅰ. 인간의 음식물의 선택은 식습관에서
II. 통혼권(通婚圈)으로 보는 식단 차이
III. 식습관의 지역차에는 영양성분적 변화는 없다
제2부 일본의 식재료
제1장 주식문화로서의 곡물
I. 벼와 쌀 재배의 기원
II. 온대(溫帶)로 인한 제약과 영향
III. 잡곡으로의 의존, 쌀의 그리움
IV. 안정작(安定作)과 재해(災害) 발생
V. 냉해(冷害) 극복과 잉여미(剩餘米)의 발생
제2장 민속학에서 본 곡류와 감자류
I. 민속 연구의 입장
II. 풍토의 개념
III. 풍토 유형의 시안(試案)
IV. 화전 농경의 추이
V. 떡이 없는 정월의 관례
VI. 신문화에 대한 전통문화의 대응
제3장 일본의 콩류
I. 일본의 콩의 역사
II. 식품으로서 콩의 중요성
III. 일본에서 재배된 콩류[豆類]
IV. 수입하고 있는 콩류
V. 기타 특수한 콩류
제4장 생선과 일본인
Ⅰ. 이세신궁(伊勢神宮)의 신찬(神饌)
II. 일 년에 3번 진수성찬
Ⅲ. 엷게 저며서 펴 말린 전복 (노시 아와비)
IV. 도미와 상어
V. 여러 가지 건어(腊)
VI. 생선으로 구분 지었던 정결함과 더러움
VII. 첫 밥상의 생선
VIII. 쌍어 무늬(双魚紋)
제3부 외래 식문화의 정착
제1장 일본 식문화에서의 외래 음식
I. 외래의 음식 수용의 4개의 단계
II. 우유와 차
III. 적미(赤米)와 적반(赤飯)
IV. 외래(外來)의 식(食)을 받아들였던 시대
제2장 신찬(神饌)에서 보는 일본화된 외래 음식
I. 신찬(神饌)의 의미
II. 오소메고쿠(御染御供)와 백미(百味, 여러 가지 진귀한 음식)의 온지키(御食)
III. 당과자(唐菓子)
제3장 정진(精進) 요리와 일본의 식생활
I. 정진이라는 단어
II. 동아시아의 정진요리
III. 일본의 정진요리
IV. 육식(肉食)과 정진요리
V. 불교의 위치
VI. 불교의 침투와 정진요리
VII. 조채인(調菜人)과 포정인(庖丁人)
VIII. 정진요리의 의의(意義)
제4부 다시 태어나는 이문화(異文化) 음식
제1장 문명개화와 서양요리
I. 식(食)의 개화(開化)
II. 메이지 시대 초기의 食의 사건
III. 문명 개화와 「육식의 설(說)」
IV. 일본과 서양의 절충의 추천
V. 조미의 개화
제2장 일본화된 중국음식과 요리
I. 외래식의 일본화의 범위에 대한 의문
II. 수용이 늦어진 중화요리
III. 수원식단(隨園食單)과 야마다 마사헤이(山田政平)
제3장 일본화된 한국음식 – 불고기를 중심으로
I. 야키니쿠(焼肉)와 김치
II. 일본에서 야키니쿠(燒肉) 이전의 한반도 식(食)
III. 일본의 야키니쿠
IV. 일본의 야키니쿠의 시작
V. 호르몬 야키(내장 구이)
VI. 무연 로스터의 개발
VII. 민족(에스닉)요리의 보급과 한국요리
VIII. 가정에서의 야키니쿠와 가정용 야키니쿠 양념
■ 칼라 기획 : 그림과 「물건」으로 보는 식사문화사
제5부 음식의 미학 / 279
제1장 음식의 미학
I. 넓은 의미의 미학(美學)
II. 예능으로서의 식의 문화
III. 식(食)에 있어서 장식
IV. 담는다ㆍ쌓는다ㆍ세운다ㆍ늘어놓는다.
V. 음식과 취향
제2장 요리의 미학, 동서비교론
I. 향, 색, 맛으로 보는 요리관
II. 맛의 평가의 차이
Ⅲ. 일본 요리의 기술
Ⅳ. 보기 좋게 담는 미학
V. 보기 좋게 담는 법(모리츠케)의 동서(東西) 비교
제3장 음식에서의 예술성
I. 요리는 예술인가?
II. 예술의 개념을 찾아서
III. 정신성과 육체성
IV. 식사의 기호(記號)성
V. 예능으로서의 성격
VI. 예능(芸能)인과 요리인
VII. 요리 만드는 퍼포먼스(performance)
VIII. 요리의 가라오케 화
제6부 세계 속의 일본
제1장 식생활과 풍토
I. 풍토론의 계보(系譜)
II. 풍토의 현재ㆍ과거
III. 일본형 식생활론
IV. 풍토로부터의 이탈과 풍토에의 회귀
V. 가치관의 정리(유토피아 SF를 예로 들어)
제2장 이문화(異文化)와 식사 시스템
I. 시스템으로서의 식사를 잡다
II. 역사 속에서의 외래 음식
제3장 쇼와 식사의 변천
I. 들어가기에 앞서
II. 요리의 변천
III. 음식물 섭취 패턴의 변천
제4장 일본형 식생활은 일본인이 지킨다
I. 일본 식사의 문화 원점
II. 세계 각국에서 보는 식품 섭취 패턴
III. 조미료의 계통
IV. 세계의 식성
V. 일본의 「음식문화」는 일본인이 지킨다.
후기 / 본 권의 구성에 대해서 이시게 나오미치(石毛直道)
初出一覧
집필자 소개
역자의 말
번역자 및 편집위원